올해 치러진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문제와 정답에 모두 오류가 없다는 최종 결론이 나왔다. 시험 직후 논란이 일었던 영어 24번과 국어 3번, 17번 문항도 출제 원안대로 유지됐다. 사진= 연합뉴스
올해 치러진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문제와 정답에 모두 오류가 없다는 최종 결론이 나왔다. 시험 직후 논란이 일었던 영어 24번과 국어 3번, 17번 문항도 출제 원안대로 유지됐다. 사진= 연합뉴스

현대경제신문 홍미경 기자 | 올해 치러진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문제와 정답에 모두 오류가 없다는 최종 결론이 나왔다. 시험 직후 논란이 일었던 영어 24번과 국어 3번, 17번 문항도 출제 원안대로 유지됐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 25일 “지난 13일 시행된 수능 문제와 정답을 정밀 검토한 결과, 이의 제기 문항 모두 ‘문제·정답에 이상 없음’으로 판정했다”고 밝혔다.

평가원에 따르면 수능 당일부터 17일 오후 6시까지 총 675건의 이의신청이 접수됐다. 단순 의견 개진이나 중복, 취소 등을 제외하고 실제 검토 대상이 된 문항은 51개, 509건이었다. 외부 전문가가 참여한 이의심사 실무위원회 검토와 이의심사위원회 최종 심의를 거친 끝에, 모든 문항이 출제 원칙과 정답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최종 판단됐다.

이번 수능에서 가장 많은 이의가 제기된 문항은 영어 영역 24번이었다. 3점짜리 ‘글의 제목 찾기’ 문제로, 전체 이의신청의 60%에 가까운 약 400건이 이 문항에 집중됐다. 일부 수험생과 교사들은 “정답 선택지에 지문에 없는 표현(culturtainment)이 포함돼 출제원칙 위반”이라며 모든 선지를 정답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평가원은 정답 ②번(‘Cash or Soul? When Culture Couples with Entertainment’)이 본문의 중심 내용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평가원은 “지문은 문화와 상업의 균형을 다룬 글로, 해당 선택지는 두 가치의 긴장 관계를 수사적으로 표현했다”며 “출제 원칙상 오류가 없다”고 밝혔다.

‘출제 오류’ 논란이 있었던 국어 영역 3번과 17번 문항도 그대로 유지됐다. 국어 3번은 ‘단순 관점’ 이론을 다룬 문제로, 일부 학계 전문가가 이론과 지문 간 불일치를 지적했으나 평가원은 “수능 맥락에 맞게 재구성된 지문이며, 제시된 내용은 단순 관점 이론의 핵심에 부합한다”고 반박했다.

또 다른 쟁점이던 국어 17번 문항은 철학자 칸트의 인격 동일성 개념을 묻는 문제였다. 평가원은 “보기 속 갑의 입장은 칸트 이전의 ‘영혼 중심’ 견해와 다르며, 정답 ③번이 지문 내용과 일치한다”고 판단했다.

평가원은 수험생 불안을 줄이기 위해 주요 이의신청 문항의 채점 근거를 상세히 공개했다. 이번 심사 결과는 평가원 홈페이지에서 열람 가능하며, 성적표는 다음 달 5일 전국 고등학교와 수험생 개인에게 배부된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