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차세대 무선 기술 확보 협력

(사진 왼쪽부터) 류탁기 SKT 네트워크기술담당과 정진국 삼성리서치 차세대통신연구센터장이 협약서에 서명하는 모습. ⓒSKT
(사진 왼쪽부터) 류탁기 SKT 네트워크기술담당과 정진국 삼성리서치 차세대통신연구센터장이 협약서에 서명하는 모습. ⓒSKT

현대경제신문 유은주 기자 | SK텔레콤과 삼성전자가 6G 이동통신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AI 기반 무선접속망(AI-RAN) 기술 공동 개발에 나선다. 

SK텔레콤은 삼성전자와 업무협약을 맺고 6G 상용화를 위한 핵심 기술 연구와 실증 협력을 강화한다고 26일 밝혔다. 양사는 AI 기반 채널 추정 기술과 분산형 다중 안테나 송수신 기술, AI-RAN 기반 스케줄러 및 코어 네트워크 기술 등 주요 분야에서 공동 연구를 추진한다. 

이번 협력은 SKT 네트워크기술담당과 삼성전자 삼성리서치가 주도하며, 실제 네트워크 환경에서 검증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목표다. SKT는 전국망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데이터 제공과 실증 환경 구축을 맡는다. 삼성리서치는 AI 채널 추정 모델 개발과 분산형 MIMO 알고리즘 고도화를 담당한다. 

AI 기반 채널 추정 기술은 장애물로 인해 전파가 왜곡되는 상황에서도 신호 전달을 예측해 보정하며 정확도를 높인다. 분산형 MIMO 기술은 여러 기지국이 협력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으로 대규모 인구 밀집 지역에서도 안정적인 초고속 통신이 가능하다. 

AI-RAN 스케줄러와 코어 기술의 경우 네트워크가 스스로 데이터 전달 시점과 경로를 판단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도록 돕는다.

양사는 지난해부터 AI-RAN 얼라이언스에서 기술 협력을 이어왔다. 6월 에스푸 총회에서 공동 제안한 AI 기반 채널 추정 기술이 승인됐고 11월 보스턴 총회에서는 해당 연구 성과를 공개했다. 

SKT는 2023년 국내 통신사 최초로 6G 백서를 발간해 AI 기반 미래 네트워크 청사진을 제시했으며 MWC25에서 AI-RAN 기반 기지국을 시연하고 10월 엔비디아와의 MOU도 체결했다.

류탁기 SKT 네트워크기술담당은 "AI와 무선통신의 융합은 6G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요소"라고 말했다. 

정진국 삼성리서치 차세대통신연구센터장은 "AI 기반 무선 기술의 실효성을 실제 환경에서 검증하고 핵심 AI-RAN 기술을 조기에 확보하겠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