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홍기 산업부 기자
최홍기 산업부 기자

우유 원재료인 원유가격이 인하됐지만 우유 제품의 소비자가격 인하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소비자단체까지 나서면서 우유제품 소비자가격 인하를 촉구하고 나섰지만 업체들이 시장상황과 맞지 않다며 사실상 가격인하를 거부하고 나선 것이다.

우유가격 인하 분위기는 지난달 낙농진흥회가 원유값을 인하하기로 결정하고 나서부터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당시 낙농회는 기존 리터당 940원이었던 원유가격을 922원으로 18원 인하했다.

더구나 이번 원유가격 인하는 지난 2013년 원유가격연동제(물가 상승률과 생산비 등을 고려해 원유가격을 결정하는 제도) 도입 이후 처음이다.

원유가격연동제는 물가는 매년 오르기 때문에 사실상 가격이 떨어지기 힘든 구조다.

더욱이 유업체들이 전체적인 불황의 주된 이유중 하나로 원유가격을 꼽아왔기 때문에 이번 원유가격인하가 가져올 효과가 기대되는 상황이었다.

유업계가 겪고 있는 불황을 해결하기 위한 방책에 속도가 붙는 것 아니냐는 희망의 목소리도 나왔다.

그러나 문제는 유업체들이 돌연 우유가격 인하에 난색을 표하면서 시작됐다.

원유가격이 인하됐더라도 우유의 소비자가격은 마케팅과 인건비 등 다른 요인도 같이 적용, 형성되기 때문에 인하는 어렵다고 밝힌 것이다.

더욱이 인하가 된다하더라도 시장상황상 소비자가격 인하는 시간이 걸린다고 설명했다. 적용시기에 대해 내년초가 되지 않겠냐는 전망도 나왔다.

하지만 소비자들과 업계 일각에서는 말도 안되는 논리라는 목소리가 높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유업계가 과거 원유가격이 올랐을 때 발 빠르게 우유값을 인상했던 것과 달리 우유값 인하와 관련해서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가격이 올랐을 때는 바로 적용해놓고 가격이 내렸을 때는 뜸들이는 게 모양새가 맞지 않다는 얘기다.

실제 우유(백색시유)의 평균 소비자가격은 2013년 8월까지 2천360원을 넘지 않았다.

그러나 원유가격연동제 시행으로 인해 원유값이 106원 인상된 이후 유업계에서는 원가 인상분을 반영하며 출고가 인상을 단행했다.

이에 따라 8월 평균 2천358원이었던 소비자가격은 9월 2천425원, 10월 2천572원으로 2개월 만에 214원이 오르며 2천500원대를 돌파했다. 가격인상이 바로 적용된 것이다.

언제는 원유가격인하만 되면 업계불황을 타개할 수 있는 것처럼 말하더니 화장실 들어가기 전과 후가 너무 다르다.

혹여나 이번 원유가격 인하가 업체들의 배만 불리는 결과로 이어지는 게 아닐까 씁쓸하기만 하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