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화 비중 높고 대체 수입 가능해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전경.<사진=연합>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전경.<사진=연합>

[현대경제신문 김영 기자] 일본 정부의 화이트리스트 한국 제외 결정 관련 국내 자동차와 철강업의 경우 일본산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고 대체재 수급도 용이할 것으로 전망, 일본발 무역제재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알려졌다.

6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에 대한 일본 정부의 수출 규제 관련 국내 자동차와 철강업의 경우 별다른 타격은 없을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일본 정부의 CP기업에 대한 특별일반포괄허가제도를 활용, 자동차와 철강업 모두 당분간 부품 수입에 큰 어려움을 없을 것으로 전해졌다.

이 중 자동차의 경우 지난 2011년 동일본대지진 이후 일본산 차량용 부품 비중을 지속적으로 낮춰 왔고 안전재고 또한 충분히 확보해 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과 유럽·중국 등을 통한 대체 수입도 가능, 생산 차질은 제한적이거나 없을 것이란 의견이 나온다.

차량용 반도체 역시 거점 다변화와 이원화를 통해 발생 가능한 상황에 대한 대처가 어렵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장문수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친환경차와 전장화 부품 등 해외 의존도 높은 부품군의 경우, 경쟁력 보유한 국내 부품사의 수주 경쟁력 확대 기회가 될 수도 있을 것”이라며 “환율 상승에 따라 주요 경합지역에서 국내 자동차 가격 경쟁력 강화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철강업 역시 글로벌 공급과잉 상태에서 중국산 등으로 대체가 충분하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한국과 일본 시장에서 양국 제품 비중이 각각 10%와 6%에 불과하고 동남아 등 대체 시장 개척이 가능 수출 규제 영향이 한일 양국 모두 크지 않다는 의견도 나온다.

전기로 부자재인 전극봉의 경우 전량 수입되고 있고 이 중 일본산 비중이 54%로 철강 소재 중 그나마 높은 편이나 이 또한 중국과 인도를 통한 대체 수입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현욱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오히려 규제 강화에 따라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국내 시장입지 강화가 기대된다”며 “생산 원가가 단기적으로 상승할 수 있으나 조업차질 가능성 극히 제한적”이라 강조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