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산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 확대 우려”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현대경제신문 정유라 기자] 게임중독 질병코드 등재 이슈가 다시금 수면위로 떠오르자 국내 게임사들이 반발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이하 WHO)는 다음달 20~28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정기총회를 열고 게임중독을 '게임장애(gaming disorder)' 질병으로 등재한 국제질병분류 11판(ICD-11)을 채택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개정안은 내달 WHO 총회에서 회원국 간 논의를 거쳐 확정되며 2022년 1월 1일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이에 10일 게임업계 관계자는 “중독이라는 기준 자체가 구체적이지 않고 모호하다는 주장은 변함이 없다”며 “게임 중독이 사회적 문제인 건 맞지만 그렇다고 모든 문제의 원인을 게임 탓으로 돌려서는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작년 6월 WHO는 게임장애를 질병코드에 포함시킨 새로운 국제질병분류를 사전 공개해 주목을 받았다.

게임장애는 도박중독과 함께 ‘중독 행동에 따른 장애’ 범주에 포함돼 있다. 증상은 게임 플레이 시간 조절 불가, 게임과 다른 활동의 우선순위 지정 장애, 게임으로 인한 부정적인 결과 무시 등이다.

아울러 작년 10월 진행된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서 WHO가 게임중독을 질병으로 분류하면 정부도 이를 받아들이겠다는 긍정적인 입장을 밝혀 업계 내 우려감은 더 커진 상황이다.

바른미래당 최도자 의원은 지난해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게임은 새로운 여가문화이지만 게임중독은 국가차원에서 관리가 필요하다”며 “그동안 게임의 산업적인 측면만 너무 강조해왔는데 게임장애의 국제질병분류체계 포함을 계기로 보건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같은 움직임에 국내 게임업체들은 여전히 당혹스럽다는 입장이다.

게임중독이 질병코드로 분류될 경우 각종 규제로 게임 사업이 타격을 받고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될 것이라는 우려에서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게임중독이 질병으로 이어질 시 게임 산업의 이미지에 타격이 있을 수 밖에 없다”며 “게임 때문에 일상생활이 어렵다는 이유로 중독이라 낙인을 찍는다면 흥미를 느끼고 집중할 수 있는 낚시와 등산 등의 다른 취미 활동 역시 해당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도 “의학계나 심리학계에서도 게임장애에 대한 명확한 결론을 내린 바 없다”며 “글로벌 지역에서도 국내 게임이 강세를 보이고 있고 중국 외자판호 재개로 산업 육성에 힘을 쏟아야 하는 시기인데 부정적인 결과에 유감”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