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가격산정부터 주관사 관여, 책임도 늘어

<자료=금융위원회>
<자료=금융위원회>

[현대경제신문 김경렬 기자] 흥행 부진에 철회 소식까지 쏟아졌던 국내 IPO(기업공개) 관련 주관사 자율성 확대에 초첨을 맞춘 정부의 제도 개편안에 업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8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올해 증권가에서는 예정돼 있던 기업 IPO 일정이 줄줄이 취소되거나 변경됐다. CGV 베트남 홀딩스와 SK루브리컨츠 및 카카오게임즈, HDC아이서비스, 아시아신탁, 프라코, 드림텍 등이 상장 철회를 결정했고, 노바렉스와 디케이앤디 등은 공모가를 줄였다.

올해 3분기 누적 기준 신규상장 공모 규모 역시 지난 해 동기 대비 5조 가량 축소된 1조7천억원에 그쳤다.

업계에선 갑작스런 대외 시장 변화 및 증시 부진 등으로 인해 신규 상장기업 기업가치가 제대로 평가 받지 못했고, 일반 공모주 수요예측이 부실해 상장 철회 및 공모가 하향 조정이 늘어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지난 1일 정부가 발표한 IPO 제도 개편안에 업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정부는 ‘혁신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자본시장 혁신과제’ 발표를 통해 주관사 자율성·책임성 강화을 골자로 한 새 IPO 제도 개편안을 내놨다.

이에 따르면 IPO 초기 가격산정 과정부터 주관사 자율성이 확대되고 주관사의 신주 자율배분 물량도 확대될 전망이다. 대신 주관사의 기업 실사에 대한 책임이 강화되고, 과징금 한도 또한 20억원까지 대폭 상향 조정될 예정이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제도 개편이 IPO 활성화에 상당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관련 한 투자업계 관계자는 “상장 주관사가 IPO 시작부터 꼼꼼한 기업 분석을 선행해야 상장 계획을 그대로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주관사 자율입지 확대 방안의 현실화 여부에 따라 투자업계의 시장 대응 능력도 신장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