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차별, 정치적 불안정성, 경쟁자 출현 부담 등 리스크 병존

<자료=국제부흥개발은행(IBRD), 정리=국제금융센터>
<자료=국제부흥개발은행(IBRD), 정리=국제금융센터>

[현대경제신문 안소윤 기자] 은행들이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에 앞다퉈 진출하고 있지만 곳곳의 암초로 인해 난항을 겪을 전망이다.

동남아의 은행산업 관련 각종 규제 및 진입장벽, 정치적 불안정성 등 리스크가 확대되고 있으며 중국과 일본 대형은행의 동남아 진출 가속화가 겹쳐 경쟁이 더욱 심화하고 있다는 것도 부담 요인이다.

11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은행들은 포화상태인 국내 시장에서 벗어나 새 수익원을 발굴하고 문재인 정부가 추구하는 ‘신남방(아세안+인도)정책’에 발맞춰 동남아 시장 진출에 적극 나서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지난 7월 인도네시아 부코핀 은행의 지분 22%를 취득, 2대 주주가 된 국민은행은 2008년 BII은행(현 메이뱅크 인도네시아) 지분을 매각한 이후 10년 만에 인도네시아 시장에 다시 진출했다.

우리은행은 지난 6월 캄보디아 현지 금융사인 ‘비전펀드’를 인수하고 사명을 ‘WB파이낸스’로 변경해 지난달 베트남우리은행 법인의 자본금을 기존 1천430억원에서 2천200억원으로 늘리는 증자 계획을 승인해 동남아 금융 네트워크를 강화했다.

IBK기업은행의 경우 올해 안에 인도네시아 현지 은행 인수를 마무리해 IBK 인도네시아 은행을 출범할 계획이며 BNK부산은행과 DGB대구은행도 베트남 하노이 지점 개설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동남아 국가는 풍부한 인구수를 기반으로 한 성장 잠재력만큼이나 리스크도 병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일부 국가는 현재 부실은행 퇴출을 위해 은행들의 대출 규모에 따라 자기자본을 더 충실하게 갖추도록 요구하는 규정 등을 도입 중에 있으며 베트남의 경우 금융당국에 은행 파산선언 권한을 부여했으며 지난달 말부터 외국계 은행에 대한 신규 라이선스를 제한하기도 했다.

최근 미국 금리 인상으로 인한 동남아에서의 자금유출 및 통화가치 절하도 시장 진출에 대한 우려를 키운다. 필리핀, 미얀마 등 동남아 지역의 정치적 불안정성도 항시 고려할 수밖에 없는 리스크다.

시장 경쟁자도 늘고 있다. 최근 일본의 미쓰비시 UFJ, 미쓰이스미토모, 미즈호 등 대형은행들이 동남아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현지 은행들과의 파트너십도 증가 추세다. 기존에는 일본 거래처 대상 기업여신에 편중됐으나 근래 들어 보다 다양하고 현지화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며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중국의 알리바바 그룹과 텐센트 등 IT기업도 동남아 결제시장을 탐색하고 있어 은행이 담당하고 있던 업무를 둘러싼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국내 은행들은 고령화 및 가계부채 리스크 등으로 해외 진출 없이는 양적성장에 한계가 있다”며 “인구증가 속도가 빠르고 높은 경제성장이 예상되는 동남아에서 입지를 강화해 나가고 있지만 외국인에 대한 규제차별 등 리스크에 노출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국내 은행들이 치열한 경쟁을 뚫고 지속가능한 수익 모델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단순 법인 및 점포 설치가 아닌 현지통화 예금 수탁과 대출 제공, 파트너 은행과의 상호 거래처 지원 , 해외부문에 대한 체계적 관리시스템 구축 등 현지화 전략을 구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