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체율, 부실율 상승부터 가상화폐, 안심전환대출 등장까지 첩첩산중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현대경제신문 안소윤 기자] 등장과 동시에 중금리 대출시장의 ‘샛별’로 떠올랐던 P2P(Peer to Peer·개인 간 거래)금융이 연체율·부실율 급등과 가상화폐 투자 열풍, 제2금융권 안심전환대출 도입 등으로 시장 침체 우려가 불거지고 있다.

P2P란 2014년 말 핀테크(IT+금융) 바람을 타고 국내 금융권에 등장한 신개념 금융 서비스로 은행 등 금융기관을 거치지 않고 IT 플랫폼을 제공하는 업체를 통해 개인 간 대출 및 투자가 이뤄지는 금융거래를 말한다.

기존 금융기관 상품보다 유리한 금리 조건으로 단기 자금이 필요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에겐 자금조달 경로로, 투자자들에 있어서는 높은 수익률을 기대케하는 새로운 재테크 모델로 각광받아 왔다.

25일 P2P금융협회에 따르면 58개 회원사의 지난달 누적취급액은 1조6천516억원으로 전달(1조5천722억원)에 비해 794억원 증가했다. 이는 지난 9월 증가액 1천448억원과 비교해 반토막 난 수준이다.

월별 대출액 증가율은 2016년 6월 이후 올해 상반기까지 월평균 16%의 성장세를 보여왔으나 지난 7월 들어 3% 수준으로 떨어진 후 8월과 9월 각각 9%, 10%로 집계됐다.

P2P금융 시장의 성장세가 눈에 띄게 둔화한데는 부실률과 연체율이 대폭 상승한 탓으로 풀이된다.

P2P금융협회 회원사의 연체율은 지난 7월 0.54%에서 8월 1.04%, 9월 2.99%, 10월 6.01%까지 치솟았다. 지난달 30일 기준 평균 연체율은 4.23%로 전월보다 1.78%포인트 감소했지만 이는 지난 10월 말 기준 연체율이 82.66%에 달하던 회원사 ‘펀듀’를 제명했기 때문이다.

펀듀를 제외한 나머지 회원사의 연체율은 여전히 상승 중이며 일부 회원사는 연체율이 20%를 웃돈다.

P2P 대출상품의 부실률도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30일 기준 P2P업체의 평균 부실률은 1.35%로 전월(1.12%)보다 0.23%포인트 상승했다.

P2P시장의 연체율과 부실율은 제2금융업과 대부업 등에 비교하면 아직 낮은 수준이지만, 타 업권 대비 작은 규모와 시장이 본격적으로 형성된 지 3년 밖에 되지 않은 초기단계임에도 불구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김규림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원은 “P2P 개인신용대출의 경우 은행권대비 저신용자를 대상으로 대출이 이뤄져 연체 또는 부실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가상화폐 투자열풍과 제2금융권의 안심전환대출 도입 등에 따른 자금이탈 가능성은 시장 침체 우려를 더욱 키우고 있다.

가상화폐 투자 시장은 새로운 핀테크 기술에 매력을 느끼고 원금보장보다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 성향을 가진 투자자들로부터 매력적인 투자처로 주목받고 있다.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의 12월 기준 일평균 거래액은 7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규제로 인해 1개 P2P업체 기준으로 동일 차입자에 대해 연간 500만원, 총 누적금액 1천만원의 투자제한이 있는 P2P금융 시장에 가상화폐 시장의 등장은 타격이 클 수밖에 없다.

이르면 연내 출시될 예정인 제2금융권 안심전환대출도 악재다.

정부가 지난 10월 24일 발표한 가계부채 종합대책에는 12월 중에 제2금융권 안심전환대출 상품을 선보이겠다는 내용이 포함돼있다.

업계는 제2금융권 내 원금상환여력이 있는 안심전환대출 잠재수요층이 최소 수 조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지난 2015년 은행권에서 실행된 안심전환대출 34조원 중 39%는 연 소득 2천만원 이하의 차주들이 받아갔다.

금융거래실적 부족 등으로 고신용등급(1~3등급)을 받지 못해 제2금융권으로 밀려난 차주들이 제2금융권 안심전환대출에 높은 관심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며 해당 상품의 금리가 4% 내외로 책정된다면 실수요가 정부의 추산을 크게 상환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고객군이 겹치는 제2금융권의 안심전환대출 상품 출시 소식은 P2P금융 업계를 더욱 긴장하게 만들고 있다.

국내 P2P금융 시장 1위 업체 에잇퍼센트(8PERCENT)가 자사의 신용대출 이용 고객 1천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P2P대출의 주된 용도(복수 응답)는 대환대출이 58.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P2P대출 이용고객의 반 이상이 대환대출을 위해 P2P상품을 찾는 셈이다.

P2P금융업계 한 관계자는 “투자금액을 큰 제한을 두는 정부의 P2P대출가이드라인 출시 이후 성장률이 둔화되고 있지만 지속적인 상품 개발과 다양한 영업 마케팅 전략으로 감소 폭은 줄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가상화폐 투자 열풍, 제2금융권의 공격적인 중금리 대출 시장 행보에 따른 여파도 P2P금융 상품만의 리스크 대비 높은 수익률 등으로 극복, 국내 P2P시장의 성장가도가 끊기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