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본적 해결 위해 치료제 개발 지원도 이뤄져야

대통령 당선되기 전 당시 문재인 후보가 어르신 지지자와 포옹하는 모습. <사진=연합>
대통령 당선되기 전 당시 문재인 후보가 어르신 지지자와 포옹하는 모습. <사진=연합>

[현대경제신문 유성현 기자] 문재인 대통령 보건의료 공약으로 내세웠던 ‘치매 국가책임제’와 관련,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할 수 있는 ‘치매 치료제 개발’에 대한 내용이 없어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치매 국가책임제는 치매지원센터 확대와 치매 안심병원 설립, 치매 의료비 90% 건강보험 적용, 장기요양보험 본인부담금 상한제 도입 등의 내용이다.

치매환자 가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이지만 제약업계 입장에서는 치료제 개발 내용이 없어 근본적인 해결 방안에 대해서는 고민이 부족하다는 시각이다.

14일 제약업계 관계자는 “공약 내용에서는 치료제 개발에 관한 것이 없다”며 “특히 치매 치료제에 어떤 식으로 파급 효과가 미칠지 이 공약만 보고는 판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근본적인 치매 치료제 개발에 대한 부분도 같이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더 실효성이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현재 국내 제약사들은 치매 예방을 위해 치매센터 설립과 지속적인 치료제 개발 등 노력을 하고 있지만 아직 가시적인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정부의 치매국가책임제에 대한 각 가정의 본인부담을 줄여주는 지원과 함께 제약업계에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지원도 필요하다.

동아ST는 지난 2013년 ‘동아치매센터’를 설립하고 미국 하버드대 치매연구소와 천연물소재 치매치료제를 공동으로 개발 중이며 일동제약도 천연물에 기반한 치료제를 개발 중이다.

동국제약도 치매 치료제인 ‘도네페질 데포’를 개발 하고 있다. 식약처로부터 임상 1상을 승인받아 임상 단계에 있다.

보령제약도 치매 치료제 ‘마이크로 니들’을 개발하고 있는 중이며 CJ헬스케어는 지난 3월 치매 항체치료제를 개발 중인 바이오벤처 뉴라클사이언스에 20억원을 투자했다.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2017년 5월 현재 우리나라 치매 환자 수는 72만4천857명이며 인구 고령화에 따라 2030년에 120만 명, 2050년에는 27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