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도입 이후 5년9개월만…업체 전체 적자 지속

알뜰폰 가입자 추이 <자료=미래창조과학부>
알뜰폰 가입자 추이 <자료=미래창조과학부>

[현대경제신문 차종혁 기자] 국내 알뜰폰 가입자 수가 지난 3월말 700만명을 돌파했다. 지난 2011년 7월 제도 도입 이후 5년9개월만이다.

18일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에 따르면 3월말 기준 알뜰폰 가입자 수는 701만7천명이다.

알뜰폰 서비스(MVNO)는 기존 이동통신 3사(SKT, KT, LGU+)의 통신망을 도매로 임차해 저렴한 요금으로 제공하는 이통 서비스를 의미한다.

알뜰폰 가입자 수는 2012년 10월 100만명, 2013년 8월 200만명, 2014년 4월 300만명, 2014년 9월 400만명, 2015년 4월 500만명, 2016년 1월 600만명으로 꾸준히 늘었다.

이동통신 3사 가입자와 알뜰폰 가입자를 합한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 중 알뜰폰 가입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1년 12월 1.1%에서 지난달 11.4%로 증가했다.

미래부는 알뜰폰 사업의 사업여건 개선을 위해 도매제공의무제도를 도입해 알뜰폰 사업자들이 저렴한 요금제를 출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고했다.

이통 3사가 알뜰폰 업체에 판매하는 음성 도매 대가는 2011년 분당 65.9원에서 2016년 30.2원으로, 데이터 도매 대가는 같은 기간에 메가바이트(MB)당 141.9원에서 5.4원으로 내렸다.

또 알뜰폰 사업자의 재무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2013년부터 전파사용료 감면제도를 도입해 올해 9월까지 한시적으로 적용 중이다. 그간 감면액은 800여억원에 달한다.

통신사에 비해 부족한 알뜰폰 유통망을 확충하기 위해 미래부 우정사업본부 산하 우체국 2013년 9월부터 수탁판매를 시작했다. 2017년 현재 1천500개 우체국에서 10개 중소 알뜰폰 사업자 상품의 수탁판매를 하고 있다.

 
 

알뜰폰이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끄는 가장 큰 이유는 요금이 낮기 때문이다.

CJ헬로비전 등 일부 알뜰폰 사업자들은 이통 3사 대비 30% 이상 저렴한 요금제를 출시했다. 사용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해서도 요금을 돌려주는 혁신적인 요금제를 선보였다.

일부 알뜰폰 사업자는 신용카드사와 제휴해 매월 통신요금을 할인해 주고, 멤버십카드 내지는 단말파손보험 등의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이통 3사에서 제공하는 부가서비스와 비슷한 수준이다.

다만 알뜰폰 업체 전체적으로 여전히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최근 알뜰폰 가입자 수 증가세가 둔화하고, 알뜰폰 사업자간 경쟁이 치열해진데 따른 것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알뜰폰 사업자의 노력으로 가입자 700만명을 돞하했고 통신비 부담 경감에 기여한 바가 크지만 성장속도는 둔화되고 있다”며 “알뜰폰 사업이 내실있게 성장하면서 이동통신 시장에서 실질적인 경쟁을 할 수 있는 사업자가 육성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