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사 중금리상품 집중…중소사 신규대출 중단 걱정

[현대경제신문 김영 기자] 가계대출 관리에 들어간 정부가 저축은행에 대해서도 대출 규제에 나선 가운데 규제 강화가 저축은행의 대형사와 중소사간 격차만 더욱 벌어지게 할 것이라 우려가 나온다.

5일 저축은행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금융감독원은 저축은행과 상호금융 등 2금융권을 대상으로 주간·월간 대출현황 보고지침을 내렸다. 사실상의 대출총량 규제에 나선 것이다.

앞서 정부는 저축은행의 대손충당금 기준 역시 기존 20%에서 50%로 상향 조정키로 했다.

금리인상에 대비 가계대출 급증세를 낮추기 위한 고강도 조치로 정부의 이 같은 규제 강화 움직임에 대해 저축은행들은 고금리 상품 대출 규모를 줄이고 예금금리를 낮추는 등 저마다의 대응책 찾기에 분주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가운데 업계 내에서는 ‘저축은행에 대한 정부의 규제 강화가 대형 저축은행과 중소형 저축은행의 격차만 더 벌려 놓을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자산규모 1조원 이상 저축은행들의 경우 대손충당금 확충을 위한 자본여력이 충분하지만 그렇지 못한 중소형 저축은행들의 경우 대출을 시행할수록 자본압박에 시달릴 수밖에 없을 것이란 분석이다.

대출총량 규제에 대해서도 업체 규모별 대응력에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대형사들은 고금리 상품 판매를 줄이고 중금리 상품개발 및 영업에 집중해 수익성 하락을 어느 정도 방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와 달리  중금리 상품의 경쟁력이 떨어지거나 상품 자체가 없는 중소사들의 경우 대출총량 규제로 신규대출이 사실상 중단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정부의 저축은행 규제 강화 방침에 대해선 ‘적절치 않다’는 의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A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의 도입 취지 자체가 서민금융 활성화로 실제 시중 은행에서 대출을 받기 어려운 분들이 저축은행을 찾고 있다”며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 결국 이분들로서는 대부업체 같은 곳을 찾아 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 역시 “가계대출 증가가 저축은행의 건전성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에 이를 예방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로는 충분히 이해한다”면서도 “서민들을 위해 만들어진 사잇돌이나 햇살론 등 서민금융상품이나 정책금융상품까지 대출총량 대상으로 삼는 것은 무리가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