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합병 통해 광폭행보 펼치지만 ‘글쎄’

공적연금강화국민행동과 민주노총, 참여연대 대표자들이 15일 오후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박상진 삼성전자 사장, 박근혜 대통령, 최순실씨를 뇌물공여죄 또는 제3자뇌물공여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업무상배임) 위반, 뇌물수수죄 등으로 고발한다고 밝히고 있다. <사진=연합>
공적연금강화국민행동과 민주노총, 참여연대 대표자들이 15일 오후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박상진 삼성전자 사장, 박근혜 대통령, 최순실씨를 뇌물공여죄 또는 제3자뇌물공여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업무상배임) 위반, 뇌물수수죄 등으로 고발한다고 밝히고 있다. <사진=연합>

[현대경제신문 민경미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전장사업 등에서 광폭 행보를 펼치고 있지만 ‘최순실 게이트’에 발목이 잡혀 의혹을 해소하기 전까진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달 등기이사로 선임된 이 부회장은 새로운 삼성을 만들기 위해 실용주의 노선을 택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달에 비브랩스를 인수하며 인공지능(AI) 플랫폼 경쟁에 박차를 가했다.

또 14일에는 미국 전장전문기업 하만을 인수했다. 전장사업 부문에 취약했던 삼성전자가 인수합병(M&A)을 통해 한 번에 전장사업을 틀어쥐게 됐다.

‘최순실 게이트’ 관련 의혹은 이 부회장의 이 같은 공격적인 행보에 찬물을 끼얹는 셈이 된다.

삼성은 현재 최씨의 딸 정유라씨 특혜 지원 의혹을 받고 있다. 승마협회장을 맡고 있는 박상진 삼성전자 대외협력 담당 사장은 검찰 수사 결과에 따라 참고인 신분에서 피의자로 바뀔 가능성이 있다.

검찰은 지난 8일 미래전략실을 압수수색한데 이어 이재용 부회장을 13일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14일까지 조사했다.

정치권과 시민단체는 삼성이 최순실 게이트에 연루된 것은 경영권 승계를 위한 꼼수일 것이라고 주장하며 이 부회장을 압박하고 나섰다.

국민의당은 15일 최순실씨가 국민연금을 통해 삼성그룹의 경영권 승계를 위한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을 도와주고 그 대가로 미르재단과 K스포츠재단, 청년희망재단에 출연금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삼성의 대규모 기금 출연은 사실상 이 부회장의 경영권 강화를 위한 뇌물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장정숙 국민의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지난해 7월 이재용 삼성부회장의 지배력 강화를 위한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이 논란 끝에 이뤄졌다”며 “삼성물산의 제1대 주주로서 애초에는 합병에 반대하던 국민연금 관리공단이 막대한 평가손실을 감수하며 합병의 찬성으로 돌아선 것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고 강조했다.

장 원내대변인은 “삼성의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와 연관된 막대한 헌납은 사실상 이 부회장의 경영권 강화를 위한 뇌물일 개연성이 매우 높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경록 국민의당 대변인도 이날 논평을 통해 “국민연금은 ‘주주 가치의 감소를 초래하지 않고 기금의 이익을 반하지 않는다’는 국민연금 내부 방침마저 어기면서까지 2조원의 손실을 감수하며, 이재용 부회장에게 7900억을 안겨준 것”이라며 “이에 대한 삼성의 대가는 최순실에게 직접 송금한 35억의 자금과 승마협회를 통한 180억 지원계획, 미르·K스포츠에 출연한 200억원의 자금이었다”고 지적했다.

작년 10월 안철수 의원은 국민연금 국정감사에서 “국민연금은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의 적정 합병 비율을 1대 0.46으로 추산했으나, 이를 무시하고 1대0.35 합병 비율에 찬성했다. 덕분에 삼성가는 삼성물산의 지분을 3.02%포인트, 지난 1일 종가 기준 7천900여억 원을 더 갖게 됐다”고 지적한 바 있다.

시민단체가 정치권의 주장에 힘을 보탰다. 참여연대, 민주노총, 공적연금강화국민행동 등 시민단체는 이날 삼성그룹이 박근혜 대통령과 최순실씨에게 뇌물을 공여한 의혹을 수사해 달라며 이 부회장, 박 사장을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했다.

이들은 "이 부회장 등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을 성사시키고자 공적연금인 국민연금의 역할이 필요한 상황에서 박 대통령과 최씨에게 뇌물을 준 의혹과 정황이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는 앞서 6월에도 삼성그룹 총수일가를 배임·주가조작 혐의로 고발한 바 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