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조사, 5년간 평균 부실 확률 우상향
건설업 부실확률 가장 가파른 상승 움직임
자금조달 금리인하 및 선제적 사업재편 필요

[현대경제신문 정예린 기자] 경기침체에 따른 판매 부진·재고 증가로 국내기업의 수익성이 악화해 지난해 부실기업 수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났다. 특히 건설업이 전 업종 중 부실 확률이 가장 크게 상승했다.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는 ‘2023년 부실기업 추정 보고서’에서 기업부실확률추정모형을 바탕으로 2018~2022년 기간 동안 비금융업 외감기업의 재무지표를 회귀분석한 결과 이같이  전망된다고 1일 밝혔다. 

한경협은 전체 외감기업 3만6,425개 사 중 11.7%인 4,255개 사가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놓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2022년 부실기업 수인 3,856개 사에 비해 10.3% 증가한 수치로 최근 5년 중 가장 많은 수치다. 

부실 확률은 2019년 이후 매년 증가해 2023년 7.9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감기업의 부실 확률을 견인한 업종은 부동산․임대업과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으로 부실 확률은 각각 21.4%로 분석됐다. 다음으로는 교육서비스업, 전기․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운수업 등이 뒤를 이었다.

최근 부실 확률이 가장 가파르게 상승한 업종은 건설업이다. 건설업의 부실 확률은 2019년 2.6%에서 2023년 현재 6.0%로 최근 4년 사이 두 배 이상 급증했다.

건설업에서 기업 부실위험이 크게 증가한 것은 부동산 대출 연체율 증가로 인한 부동산 경기침체, 고금리 지속, 원자재값 상승, 부동산 PF 부실화 우려 등으로 인한 자금경색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부실기업 증가는 금융과 실물경제간의 리스크를 확대 재생산해 경제 전반의 안정성을 크게 위협할 수 있는 요인”이라며 “부실 위험을 경감시키기 위해 자금조달 금리를 인하하고 기업활력제고법상의 사업재편 제도를 활용한 선제적인 사업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