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기준 잔액 310조에 그쳐

[현대경제신문 김성민 기자] 리스크 관리 강화에 지난해 한때 340조원을 넘었던 국내 은행권의 기술금융 공급 규모가 최근 310조원 규모로 대폭 축소됐다.

26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기준 국내 17개 은행의 기술신용대출 잔액은 310조 3,33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22년 11월 343조 569억원 보다 9.54%(32조 7,235억원) 줄어든 규모다.

기술금융은 신용등급이나 담보가 부족하더라도 기술력이 높은 중소·창업 기업을 선정해 사업 자금을 지원해주는 제도로 은행권은 혁신·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2014년 7월부터 기술금융을 공급하고 있다.

17개 은행 중 특히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 감소 폭이 컸다.

이들 은행의 지난 11월 말 기술신용대출 잔액은 전년 동기(204조 6,095억원) 대비 14%(28조 7,880억원) 감소한 175조 8,215억원을 기록했다.

은행별로 보면 우리은행이 가장 많이 줄였다. 우리은행은 지난 2022년 11월 43조 5,489억원의 기술신용대출을 공급했지만 지난해 11월에는 20.65%(8조 9,933억원) 줄어든 34조 5,556을 공급하는데 그쳤다. 같은 기간 KB국민은행도 48조 1,333억원에서 38조 5,034억원으로 20.01%(9조 6,299억원) 줄었다.

하나은행도 42조 7,738억원에서 38조 2,156억원으로 10.66%(4조 5,582억원) 줄며 두 자릿수의 감소폭을 기록했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11월 43조 5,574억원으로 잔액이 전년 동기(48조 467억원) 보다 9.34%(4조 4,893억원) 줄었지만 5대 은행 중 40조원대를 유지하며 가장 규모가 컸다.

NH농협은행은 같은 기간 5.05%(1조 1,173억원) 감소했지만 규모는 20조 9,895억원으로 5대 은행 가운데 가장 적었다.

최근 은행권 기술금융 규모가 줄어들고 있는 것은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은행들이 건전성 관린 차원에서 우량 기업 중심의 영업을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술신용대출은 지신재산권(IP), 기술력 같은 무형의 자산을 담보로 하다보니 다른 기업 대출 보다 상대적으로 연체 발생 가능성이 높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