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책·고환율에 중국발 위기 확산 영향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4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며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연합>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4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며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연합>

[현대경제신문 김성민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24일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현재 연 3.50%인 기준금리를 조정 없이 동결했다.

금통위가 지난 2월과 4월, 5월, 7월에 이어 이달까지 다섯 차례 연속 금리 동결을 결정한 것은 가계부채의 증가, 환율의 불안정성 확대와 함께 최근 중국 부동산발(發) 리스크(위험)가 확산된 영향이다.

지난해 4분기와 올해 1분기 소폭 감소했던 가계신용(빚) 잔액(1,862조8,000억원)은 지난 2분기 9조5,0000억원 증가했다.

미국(5.25~5.50%)과의 기준금리 역전 폭도 사상 초유의 2.0%포인트(p)까지 커진 가운데 환율도 9개월 만에 1,340원대에 올라섰다.

여기에 최근 중국 부동산개발업체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의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 등으로 중국 리스크(위험)가 커지면서 정부와 한은이 기대하는 하반기 경기 반등 실현이 불투명해졌다. 

앞서 지난 2020년 3월 금통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경기침체가 예상되자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0.75%로 0.50%p 낮추는 이른바 빅컷에 나서며 사상 처음으로 제로금리 시대를 열었다.

같은해 5월 기준금리를 0.25%p 추가 인하한 후 지난 2021년 7월까지 아홉 차례 금리를 동결하다 15개월 만인 8월에 0.25%p 인상을 단행하며 이른바 '통화정책 정상화' 시작을 알렸다.

기준금리는 이후 같은 해 11월과 지난해 1월, 4월, 5월, 7월, 8월, 10월, 11월, 올해 1월까지 약 1년 5개월 사이에 0.25%포인트씩 여덟 차례, 0.50%포인트 두 차례, 모두 3%포인트 올랐다.

하지만 지난 2월에 이어 이달에도 금리를 동결하기로 하면서 지난 2021년 8월 이후 약 1년 반 동안 이어진 금리 인상 기조가 깨졌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