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대학 계약학과 등록포기율 155%

3나노 파운드리 양산에 참여한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 반도체연구소, 글로벌 제조&인프라총괄 주역들이 3나노 파운드리 양산을 축하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3나노 파운드리 양산에 참여한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 반도체연구소, 글로벌 제조&인프라총괄 주역들이 3나노 파운드리 양산을 축하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현대경제신문 하지현 기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계가 관련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극심한 불황 속에도 성과급 지급, 계약학과와 취업 프로그램 확대 등 대응에 나서고 있지만 인력 충원에는 역부족인 것으로 풀이된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서울 주요대 반도체 학과에 최초 합격한 학생 상당수가 등록을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계약학과는 입학과 동시에 취업이 보장되지만, 타 대학 의약학계열과 중복 합격한 경우가 많아 대규모 이탈자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

정시 추가모집 시작 직전인 지난 17일까지 대기업과 연계된 반도체학과의 올해 정시 1차 합격자 등록포기율은 모집인원 대비 155.3%로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자연계 전체 등록 포기율(33.0%)을 크게 웃돌았다.

삼성전자와 연계된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등록 포기율은 130.0%였다. SK하이닉스와 연계된 고려대 반도체학과와 서강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등록포기율은 각각 72.7%, 80.0%였으며 한양대 반도체공학과는 275.0%에 달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은 실적 부진에도 높은 성과급을 지급하는 등 자구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삼성전자 반도체(DS) 부문은 연봉의 50%를 초과이익 성과급으로 받았고, SK하이닉스도 연봉의 41%를 성과급으로 지급하는 등 인력 이탈 예방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외에도 각 사별로 대학과의 산학협력을 통해 반도체 전문 인력 양성 및 공급에 나서고 있다. 삼성전자는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를 비롯해 현재 국내 7개 대학과 협력해 10개 계약학과·연합전공을 지원하고 있다. 이 중 5개가 반도체 분야다.

SK하이닉스 역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반도체 hy-스쿨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KAIST, 포스텍 등과 ‘반도체 계약학과 설치 협약’을 맺고 협업하는 등 고급인력 유치를 위한 산학협력도 진행하고 있다.

다만,이같은 반도체 인력 부족 현상은 앞으로 더 심화할 것으로 전망돼 업계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에 따르면 반도체 산업 인력 수요는 지난 2021년 17만 7000명에서 2031년 30만 4000명까지 연평균 5.6% 늘어날 전망이다. 하지만 매년 직업계고와 대학(원)에서 배출되는 반도체 산업 인력은 약 5000명에 불과하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우수 인재들의 반도체 업계 비선호 현상은 증가하고 있다”며 ““글로벌 반도체 패권 경쟁이 심화되면서 반도체의 중요성은 나날이 커지고 있지만 구인난이 업계 고질적인 문제로 자리잡고 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