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눈치 보기 비난, 세대갈등 키워

서울 동대문디지인플라자(DDP)에서 열린 2018년 금융권 공동 채용박람회에서 자기 차례를 기다리는 금융사 취업준비생들.<사진=현대경제신문 김영 기자>
서울 동대문디지인플라자(DDP)에서 열린 2018년 금융권 공동 채용박람회에서 자기 차례를 기다리는 금융사 취업준비생들.<사진=현대경제신문 김영 기자>

[현대경제신문 김영 기자]연말 희망퇴직 실시 금융사들이 늘며 그에 따른 잡음 또한 확산되고 있다.

신규 채용 확대의 반대급부로 희망퇴직이 늘었다는 지적부터 정부 눈치보기로 세대갈등만 키우고 있다는 비난까지 나오는 중이다. 

18일 업계 따르면 이 달 말까지 예정된 은행권 전체 희망퇴직자 수가 2천여 명에 육박할 것으로 알려졌다.

5대 시중은행에서 1천600여명, 3대 지방은행에서 300여명이 회사를 떠날 예정으로, 증권사와 보험사 및 카드사 등 타 업종 희망퇴직 신청 기업도 늘고 있다. 농협은행 등은 임금피크제 대상자에 대한 명예퇴직까지 진행 중이다.

보험을 제외한 금융업권이 올해 전반적인 순익 상승을 기록했음에도 희망퇴직을 확대 실시하고 나선 것과 관련 금융사들은 대면채널 영향력 축소에 따른 영업점 폐쇄, 중간관리자급의 인사적체 및 유지비용 증가를 이유로 꼽고 있다.

일부 금융사는 내년도 경기전망이 부정적이란 점에서 선제적 대응 차원의 희망퇴직에 나선다고도 밝혔다. 

반면 올해 금융권에서는 전년 대비 30% 가량 증가한 5천여 명의 신규 채용을 진행했다. 한국은행 등 금융공공기관에서 700여명을, 시중은행에서 3천여명을 채용했다. 

신규 채용규모를 늘릴 당시 금융사들은 비대면 확대에 따른 대면채널 축소에도 불구 IT인력 수요 등이 늘었다며,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가 등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신규 채용에 있어 대면채널 축소 영향이 크지 않다고 밝혔다가, 희망퇴직을 실시하며 영업환경 변화를 인력 감축의 주요인이라 밝힌 꼴이다. 

그렇다 보니 업계 내에선 신규 채용 확대가 결국 연말 희망퇴직 확대 실시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비난도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에 대해 “청년 취업이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정치권 관심 또한 늘자 금융사들이 정부 정책에 동참한다는 이유로 영업환경 변화까지 무시한 채 채용 규모를 확대한 측면이 있다”며 “전체 고용규모 확대는 부담이 되다 보니 희망퇴직을 늘리는 형국”이라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도 “금융사 채용이 ‘밑돌 빼 윗돌 괴는 식’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순익이 좋을 때 실시하는 희망퇴직을 정부에서도 권장하다 보니 이 같은 기류가 확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청년 취업도 중요하지만, 오랫동안 회사로 기여해 온 이들을 정부 눈치보기 때문에 사지로 내 몰고 있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