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신문 송현섭 기자] 국민들의 큰 관심 속에 수개월간 끌어온 ‘세월호 참사’ 파문에 이어 최근 판교 공연장 환풍구 추락사고로 16명의 사망자를 포함, 총 27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비극이 재연됐다. 특히 이번 행사를 주최․주관한 모 언론사와 지자체, 공공기관에 대한 비난이 빗발치고 있으며 행사장에 안전요원도 없었던 상황을 다시 안전 불감증을 경계하는 목소리가 비등하고있다.

우선 우리사회에는 최근 잇따르는 안전사고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이 존재한다. 주최․주관한 측에서 법과 원칙을 지키지 않고, 앞서 부실공사 의혹이 제기되며 대규모 대중행사를 진행에 필수적인 현장 안전요원을 배치하지 않은 책임 등 사실규명이 뒤따른다. 또한 후속조치로 피해자 및 유족들에 대한 보상, 책임자 처벌 등 정의구현과 관련된 해결책을 모색하는 일련의 일반언론 및 절차적인 시각이 그중 하나다.

그러나 필자의 생각에선 빈발하는 대형 참사들은 그 영향이 피해자 및 유족, 주최측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다. 각종 안전사고를 대비한 사회간접자본 투자와 사회적 법적․제도적 장치 마련 등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 물론 애초부터 안전기준을 지키고 매뉴얼에 따라 일을 진행했더라면 대규모의 사회적․경제적 비용문제가 야기되지 않아도 괜찮았을지도 모를 일이다.

앞서 세월호 참사이후 산업계는 안전문제에 대한 깊은 고심 속에 앞다퉈 안전 인프라 구축에 상당한 비용을 투입했다. 각 기업마다 갹출해 정부의 사회적 안전인프라 구축을 위한 투자에 대한 부담을 지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우리사회에는 안전사고의 사각지대가 존재하며, 이를 제거하기 위해선 끊임없이 상당한 자본과 비용이 투입돼야만 한다.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조직의 신설 및 운영, 위험시설 및 요소에 대한 정기적 안전점검, 각종 안전장비 설치 및 운용 등 이루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다. 그러나 기업들이 안전문제에만 천착하게 된다면 본연의 사업기회 발굴․연구개발, 궁극적으로 기업조직과 이해관계자들을 위한 수익성 추구는 뒷전으로 밀려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지경이다.

물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강화되면서 일련의 사회공헌활동이 봇물을 이루며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하면 기업들의 손을 빌리고 안전인프라 확충을 위한 투자를 요구받는다. 정부의 직․간접적인 요구도 있겠지만 사회적 여론을 등지고 기업활동이 불가능한 여건 하에서 어쩌면 안전을 위한 투자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일회성 사고야 수습절차로 충분하겠지만 구조적 문제 해결을 위해선 우리사회가 짊어져야 하는 사회적․경제적 비용이 너무나 크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