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국토교통부>
<사진=국토교통부>

[현대경제신문 하지현 기자] 정부는 항공정비산업(MRO)을 육성해 2025년까지 해외정비 의존도 30% 이하 2030년까지 산업 규모를 5조원이 되도록 하겠다는 목표를 12일 밝혔다. 정부는 이 날 ‘제43차 비상 경제 중앙대책 본부 회의’에서 ‘항공정비(MRO)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의결했다.

현재 국내 항공사의 해외 정비 의존도는 56%, 산업 규모는 7천억원이다. 이에 정부는 국내 MRO 물량 확대 지원, 가격경쟁력 확보, 항공정비 기술역량 강화, MRO산업 성장 기반 조성 등의 세부과제를 마련했다.

우선 국내 정비물량 확보해 MRO 수요를 대폭 견인할 방침이다. 국내 군 정비물량을 민간 정비로 점진적인 전환에 들어간다. 해외정비만 가능한 군용기 부품도 국산화를 추진한다. 지난해 3천500억원 수준이었던 국내 민간정비 물량을 내년까지 5천100억원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관세 완화, 부품비용 절감, 금융 지원 체계도 마련해 가격 경쟁력을 강화에 나선다. 정비 분야 주요 교역국인 싱가포르의 수입 부품 관세를 일시적으로 면제한다. 항공산업 발전조합을 설립하고 업체에 투자와 융자 지원에 나선다. 국내 부품을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도록 국내 업체 부품의 상용화 인증도 지원한다. 주요 예비품 사용자 변경을 사전승인에서 사후신고로 바꿔 불필요한 예비품 보유비용을 경감할 수 있도록 돕는다.

R&D 상용화, 국제공동 개발사업을 통해 기술 수준 향상도 노린다. MRO 핵심기술 로드맵을 내년 상반기까지 마련해 10년 후 선진국의 90%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협업 연구개발(R&D)을 추진해 국내 업체가 국제공동 개발 사업에 참여 시 우선 지원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MRO 성장기반을 강화한다. 지역별로 분산 추진되는 MRO 클러스터 간 중복투자를 막고 지역별 육성을 유도한다. 정부·지자체·공항공사 등과 협의체를 구성하며 클러스터 내 기업 입주 시 임대 및 조세 감면 등을 지원한다. 국내 정비조직 인증만으로 항공기 정비가 가능도록 한-미 항공안전협정 체결을 추진해 추친할 방침이다. 국내 인력양성 교육과정을 개발해 수요기업 대상으로 컨설팅도 진행한다.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은 “우리나라 항공정비(MRO)산업은 제작기술 부재, 정비수요 부족, 높은 인건비 등 어려운 산업 여건으로 업체의 자생적 노력만으로는 성장에 한계가 있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