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샛별 산업부 기자
주샛별 산업부 기자

[현대경제신문 주샛별 기자] 패션업계에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바람이 불고 있다. 

16일만 해도 신세계인터내셔날이 제품 배송에 사용되는 모든 포장재와 부자재를 종이로 전환한다고 선언했고 지난 11일에는 유니클로가 이산화탄소 배출 절감을 위해 국내 93개 매장에 전력 사용량 측정기기 102대를 설치했다고 밝혔다.

반면 ESG 경영을 선포했으나 물류과정 효율화나 자동화 설비 도입 등 당연한 사업활동을 ESG로 포장하고 1회성 이벤트로 끝내는 곳도 많다.

심지어 이전에도 수없이 존재하던 공병수거 활동을 대단한 ESG 경영처럼 홍보하는 곳까지 있다. 

이는 ESG 경영에 대한 기준이 부족한 탓이다.

16일 서울 여의도동 켄싱턴호텔에서 열린 한 행사에서 김동수 한국생산성본부 지속가능경영추진단장이 ESG 평가를 시험 문제에 빗대 “시험 출제 범위, 채점 기준, 평가 결과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기업들은 피곤하다”고 말할 정도다.

또 ESG 평가기관이 구체적인 평가기준을 공개하지 않는다는 점도 문제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와 금융위원회, 환경부 등은 한국형 ESG 지표를 만들기 위해 논의하고 있다. 

환경부는 녹색채권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며 EU 분류체계 등 해외 사례를 참고해 한국형 녹색금융 분류체계를 개발하기로 했고 금융위는 2025년 시작되는 ESG 의무 공시에 앞서 업계의 의견을 모아 검토한다는 입장을 냈다.

한발 늦은 행정이다. 해외에서 600곳이 넘는 ESG 평가기관이 생길 동안 명확한 기준조차 만들지 못하다 이제야 부랴부랴 움직이는 형국이다. 한국형 ESG 경영의 기준을 서둘러 만들어야 한다.

공병을 모으거나 페트병에 비닐을 떼는 게 ESG로 포장되지 않고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기업들이 인정받을 수 있도록 뚜렷한 지표가 하루 빨리 나와야 할때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