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 걱정과 비판 담당관

 
 

#66. 걱정과 비판 담당관

 

(1)

두 사람의 젊은 선비가 똑같이 벼슬살이를 시작했다. 전국적으로 치러진 초시(初試)에서 가장 우수한 사람들만을 골라 왕 앞에서 두 번째 시험인 전시(殿試)가 치러졌는데, 여기에서 장원을 다툰 두 사람이 추밀원의 낭사(郎舍)로 특별 채용되었던 것이다.

두 사람에게는 전에 없던 중대한 직책이 맡겨졌다. 그들은 매일 아침 왕의 조회 때마다 직접 참석하여 왕의 언행이나 명령, 통치 전반에 대한 간쟁을 하도록 특별한 지시를 받았다. 고대의 경전과 역사, 문학에 해박한 지식을 바탕으로 왕을 깨우쳐 국정이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바로잡게 하자는 것이었다.
두 사람이 하는 일의 성격은 같지만, 구체적으로 다른 역할이 주어졌는데, 한 사람은 왕의 명령을 긍정적 측면에서 보고 주로 칭송해야 했고, 다른 한 사람은 왕명을 부정적 측면에서 보고 주로 비판을 가하는 것이 임무였다. 사람들은 한 사람을 ‘긍정과 칭찬 담당관’으로, 다른 한 사람을 ‘걱정과 비판 담당관’으로 불렀다.

이들에게 임무를 분장할 때, 왕은 두 사람을 직접 불러 특별 직무에 대해 취지를 직접 설명해주었다. 그때 걱정과 비판 담당관에게 이렇게 말했다.

“임금도 사람인지라 그가 아무리 총명하다 해도 실수나 허점이 없을 수 없다. 자네는 그것을 치밀하게 가려내어 비판하여야 하며, 그러나 단지 비판에 그치지 않고 잘못된 것을 어떻게 바로잡아야 하는지 대안을 명쾌하게 제시해주어야 한다. 지금까지 선왕들은 위대한 정치를 펴기는 했으나, 내가 보기에 듣기 좋은 말을 선호하고 귀에 쓴 말을 듣기를 게을리 하셨다. 이 나라 역사가 백년을 넘어가는데도 아직 중원에서 강국이 되지 못한 이유가 거기에도 있을 것이야. 그래서 이번에 각별히 새로운 직책을 정한 것이니, 조금도 저어하지 말고 내게 필요한 간쟁에 힘쓰도록 하라. 이것으로 우리나라가 부국강병에 특별한 진전이 있기를 바라노라. 그대가 나의 면전에서 하는 모든 말은, 그것이 다소 지나친 면이 있다 하더라도, 결코 그 책임을 묻지 않겠다. 왕의 권한으로 그대를 보호하겠노라.”

이러한 ‘면책특권’은 왕의 면전에서 마음껏 혹독한 비판을 가하는 대신, 바깥에 나가서는 절대로 같은 말을 발설해선 안 된다는 당부와 함께 주어졌다. 젊은 선비는 깊이 머리를 숙이며 하명하였다.

“옛날 춘추시대에 진(晉)나라 제후 조앙에게 주사라는 가신이 있었습니다. 제후의 면전에서 직간을 서슴지 않아 때로는 제후가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기도 했죠. 그러나 주사가 먼저 죽었을 때, 조앙은 대부 가신들과 조회를 가질 때마다 고개를 저으며 언짢아했습니다. 불안해진 가신들에게 제후가 말했답니다.

‘그대들에게 죄가 있는 것은 아니오. 다만 천 마리 양의 가죽이 한 마리 여우의 겨드랑이가죽만 못하다(千羊之皮 不如 一狐之腋)는 말이 있소. 우리가 조회를 가질 때마다 모두들 공손히 예, 예라고만 하니 주사처럼 기탄없이 직언하는 소리를 한 마디도 들을 수가 없소. 이것을 걱정하는 것이오.’
신이 미천하오나, 대왕마마의 분부를 삼가 받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