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쏠림현상이 일고 있는 재간접 헤지펀드에 금융당국이 제동을 걸었다. 대형 증권사들은 상품 판매를 잠정 중단했고, 운용사들은 새로운 포트폴리오를 고민하고 있다.

15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최근 자산운용사에 재간접 헤지펀드의 최소 가입기준과 편입된 헤지펀드 수를 제한하는 내용을 구두로 전달했다.

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재간접 헤지펀드의 최소 가입기준을 1억원 이상으로 하고, 포트폴리오에 최소 5~10개 이상 헤지펀드를 담을 것을 요구했다. 또 헤지펀드 1호, 2호 등과 같이 동일한 포트폴리오의 재간접 헤지펀드를 시리즈로 출시하지 말라고 제시했다.

현재 해외 헤지펀드에 투자하는 국내 48개 재간접 헤지펀드 대부분이 2~3개 헤지펀드만 편입하고 있다. 이마저도 몇 개의 헤지펀드에 집중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 "헤지펀드 도입을 앞두고 재간접 헤지펀드가 기계적으로 2,3개 펀드를 담고 있는 것이 과연 바람직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며 "예컨대 재간접 공모펀드는 '10% 룰'을 통해 분산을 하는데 재간접 헤지펀드 역시 10개 정도 담아야 리스크가 분산될 수 있다는 등의 예시를 제시한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 싱가포르는 재간접 헤지펀드에 최소 15개의 헤지펀드에 투자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금융당국은 재간접 헤지펀드에 대한 분산투자 규제 수위를 고민하고 있다.

이 관계자는 "재간접 헤지펀드는 사모펀드인데 일반인들이 헤지펀드에 대한 정보를 제대로 취득하지 못한 채 쏠림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하면서 "3,4분기 정도에 가이드라인을 내놓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재간접 헤지펀드 운용 요건이 강화되면서 삼성과 우리, 대우, 미래에셋 등 대형 증권사들은 지난주부터 재간접 헤지펀드 판매를 잠정 중단했다. 이들은 확정된 가이드라인에 맞춰 판매를 재개할 것으로 전해졌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한국형 헤지펀드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면서 정확한 가이드라인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며 "판매 중단이라기보다는 가이드라인이 나올 때까지 시장의 분위기를 살피는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투신운용 관계자는 "사모펀드는 기본적으로 고객들의 요구가 없으면 만들어지지 않는다"며 "증권사가 가이드라인에 맞게 고객을 모아 준다면 이에 맞춰 포트폴리오를 내놓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