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적 부동산 전망에도 리밸런싱 보다는 ‘관망’ 기조
중위험·중수익 금융상품 선호 지속…PB 의존도 높아져

<자료=하나금융경영연구소 '2019 한국 부자 보고서(Korean Wealth Report)'>
<자료=하나금융경영연구소 '2019 한국 부자 보고서(Korean Wealth Report)'>

[현대경제신문 안소윤 기자] 하나금융연구소는 우리나라 부자들의 자산관리 형태를 분석한 결과 이들은 올해 부동산 시장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에도 부동산 자산 비중을 확대했으며 중위험·중수익 상품 선호가 지속, 프라이빗뱅킹(PB) 의존도가 높아졌다고 28일 밝혔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서는 우리나라 부자들의 자산관리 형태 및 경제활동의 특성, 트렌드 변화 등을 연구할 목적으로 2007년부터 매년 ‘한국 부자 보고서(Korean Wealth Report)‘를 발간해 오고 있다.

올해 보고서는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KEB하나은행 PB 고객 중 총 922명의 설문 내역을 분석한 결과이며, 부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의 종류 및 지역, 투자행태 변화, 자산축적 및 노후준비 계획 등에 대한 조사 내용이 포함됐다.

부자들은 올해 부동산 시장에 대해 부정적인 전망을 내놓으면서도 자산 구성은 현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향후 5년간 국내 실물 경기(부동산 경기 포함)에 대해 부자들의 절반 이상이 침체될 것으로 내다봤으며 지난해 조사에서 보였던 낙관적인 전망이 비관적으로 선회했다.

부동산 경기는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서울지역의 경우 현 상태로 유지된다는 답변이 46%로 가장 컸지만 지방 부동산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2%가 침체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실물 경기와 부동산 경기를 부정적으로 보는 상황에서 부자들의 46%는 현재 자산 구성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혀 적극적인 자산 리밸런싱보다는 관망하는 경향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성학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원은 “지난해 결과와 비교할 때 현재 자산구성을 유지하겠다는 비중이 증가했는데 이는 대내외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자산 변경에 더 신중한 태도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현재 부자들의 자산 포트폴리오 중 부동산 비중은 53.1%로 전년대비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및 수도권 거주자의 부동산 비중이 증가했으며 지방 거주 응답자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지역별 부동산 양극화 현상이 일부 반영됐다.

2019년 투자 선호 금융상품으로는 주가연계증권(ELS)·주가연계신탁(ELT)이 1순위를 차지했으며 다음으로는 단기금융상품 , 정기예금 등이 순을 이었다.

안 연구원은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에 대비해 적정 수준의 유동성을 확보하면서도 안정적인 자금을 운용하려는 수요가 확인됐다”며 “특징적인 것은 사모펀드에 대한 선호도가 주식 직접투자나 주식형 펀드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부자들이 사모펀드와 부동산대체투자펀드 등 대체투자자산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였음을 시사한다”고 해석했다.

이러한 환경 변화에 따라 부자들은 자산관리 및 운용에 대한 의사결정 시 의논하는 대상으로 PB(65.4%)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에 비해 15.7%포인트나 증가한 수치이다.

안 연구원은 “자산수익률이 낮아지면서 중위험·중수익 상품, 사모펀드 등에 대한 부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향후 투자의사 결정에 있어 PB의 역할이 한층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부자들의 현재 보유자산에 대한 기여도를 보면 부동산 투자가 27%로 가장 높고, 사업소득 20%, 근로소득 19%, 금융자산투자 19%, 부모의 증여·상속 15% 순으로 나타났다. 자산형성에 있어 부동산 투자가 가장 중요한 수단이나 사업소득, 근로소득, 금융자산투자도 자산축적에 상당히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향후 계획하고 있는 상속·증여 자산 유형 역시 부동산이 44%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이경진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부동산 경기가 안 좋은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금융상품보다 안정적인 임대수익이 가능하고 미래가치의 상승이 기대되는 부동산을 상속·증여 수단으로 활용하려는 경향이 점차 뚜렷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