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박수민 기자
산업부 박수민 기자

[현대경제신문 박수민 기자] “올리브영에서 화장만 고치고 갈게”

올리브영 매장 앞을 지날 때면 심심치 않게 들을 수 있는 말이다. 올리브영뿐만이 아니다. 대개 화장품 매장은 더 이상 단순 판매공간이 아니게 됐다.

화장품업체들은 고객 유치를 위해 너도나도 메이크업 존을 만들었다. 체험형 매장을 표방한 이 매장들을 향한 소비자의 인식도 ‘화장을 고치러 들르는 곳’으로 굳혀진 듯 하다.

보통 화장품매장에는 메이크업 존이 마련돼 있지 않더라도 각 상품을 구매 전에 먼저 체험해볼 수 있는 견본품들이 마련돼 있다. 흔히 ‘테스터 화장품’이라고 말한다.

화장품업체들은 테스터 제품을 통해 고객 유치 효과는 맛봤지만 또 다른 고민이 생겼다. 많은 이용자를 거치다 보니 위생 관리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매장 테스터 화장품을 사용한 후 구순염에 걸렸다”는 글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구순염은 주로 입술 주위에 피부 껍질이 벗겨지거나 부어오르고 수포가 생기는 증상이다. 주로 불청결한 립스틱이나 크림 등을 발랐을 때 생긴다.

지난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한국소비자원은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에 위치한 16개 매장의 42개 테스터 화장품을 대상으로 비치·표시상태 및 미생물 위생도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13개 매장(81.3%)에서는 아이섀도 제품을, 9개 매장(56.3%)에서는 고체형 제품(립스틱)을 뚜껑이나 덮개 엎이 개봉된 상태로 비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제품을 위생적으로 테스트해 볼 수 있도록 일회용 도구(브러시 등)을 제공하는 곳은 1개(6.3%) 매장에 그쳤다.

조사대상 테스터 화장품 42개 중 14개 제품(33.3%)에서는 기준치를 초과하는 미생물이 검출됐으며 일부 아이섀도, 립제품에서는 염증 유발균으로 알려진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기도 했다. 알고 사용하기엔 찝찝한 감이 없지 않다.

한 화장품업계 관계자는 “애초에 테스터 화장품은 발색, 질감 등을 확인하기 위해 손목이나 손등 부위에 확인하는 용도”라며 “얼굴에 직접 화장하는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게 당연하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러한 위생 불량이 업체만의 과실이 아니라는 점이다. 실제로 뚜껑이 잘 닫힌 채로 비치돼 있던 일부 제품(특히 마스카라, 립 등 액체형 제품)에서도 기준을 초과하는 미생물이 검출됐다. 이를 두고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한국소비자원은 테스터 제품 이용자에 의한 교차오염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두 기관은 테스터 화장품을 사용하는 소비자에게 “눈·입술 부위에 직접적인 사용은 자체하고 사용자들 간의 교차오염 방지를 위해 일회용 도구를 이용해야 한다”며 “제품에 기재된 개봉일자나 유통기한을 확인하고 테스트 후 최대한 빨리 제거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화장품 위생 문제에 대한 이슈가 한 차례 지나갈 때면 소비자들은 기업의 책임에만 주목한다. 물론 제품의 문제를 소비자가 책임지라기엔 무리가 있다. 하지만 소비자의 편의를 위해 마련된 것인 만큼 테스터 화장품에 대해서는 소비자도 책임감 있는 위생 의식을 보여주길 바란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