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소윤 금융부 기자
▲안소윤 금융부 기자

[현대경제신문 안소윤 기자] “온라인 전용카드는 혜택이 안 좋아요, 페이백 더 해줄게요 제가 추천하는 걸로 발급 받으세요”, “금융당국에 불법영업 안 걸린 무사고 5년 모집인입니다”, “페이백 최대 지급해드려요 저보다 더 많이 주는 사람 알려주면 만원 더 드려요”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에 신용카드 발급 문의 글을 올린 지 3분 만에 개인 메시지로 쏟아진 내용이다.

이들은 카드별로 최대 별(★·만원 단위의 현금을 대신하는 은어) 20개까지 지급해주겠다며 발급을 제안했다. 필자가 온라인 발급 시 신규 혜택을 받을 수 없는 고객이라는 금세 들통 날 거짓말을 일삼기도 했다.

카파라치(포상제도를 이용하는 전문 신고자)를 피해 익명으로만 불법 발급을 진행하던 예전과 달리 페이백의 ‘신뢰성’을 입증하겠다며 개인 휴대폰번호와 카카오톡 ID까지 노출한다. 카드 모집인들의 불법 영업행태가 갈수록 대범해지는 모습이다.

금융당국의 단속 강화에도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는 불법 영업행태에 대해 카드 모집인들은 불법 행위라도 하지 않으면 더 이상 설 자리가 없기 때문이라고 호소한다. 카드사들이 카드 모집인을 통하지 않은 비대면 발급 채널 활성화에 주력해 영업환경이 척박해진 탓이라고 책임을 돌린다.

실제 카드사들은 수익성 악화에 대한 타개책으로 카드 모집인 운영비용 절감에 집중하고 있다.

운용비용이 적게 드는 비대면 채널로 카드발급을 유도하기 위해 일반 카드보다 혜택이 좋은 온라인 발급 전용카드를 만들고, 연회비 전액 면제 및 일부 캐시백 등의 온라인 카드 발급 이벤트도 다량 진행한다.

이 같은 추세에 여신금융협회 조사 결과 국내 신용카드 온라인 발급 비중은 지난 2016년 11.2%에서 2017년 19.8%, 올해 6월에는 22.12%로 지속 상승했다. 일부 은행계 카드사는 신용카드의 온라인 채널 발급 비중이 60%를 넘어섰다고 밝히기도 했다.

반면 카드 모집인 수는 2016년 2만2천872명에서 지난해 1만6천658명으로 27.2% 감소한데 이어, 올해 6월에는 1만5천78명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취재 과정에서 만난 한 카드 모집인은 필자에게 “살려달라”고 말했다. 카드 모집인 대부분이 생계유지를 위해 불법 영업에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을 알아달라는 의미였다.

이 카드 모집인은 취재를 마친 후에도 취재에 도움을 준 대가로 신용카드 발급을 요구하며 페이백을 약속하는 등 끝까지 불법 행위를 지속했다.

온라인 전용발급 카드 사용을 원한다는 말에 일단 모집인 발급 카드로 신청한 후 사용등록을 해 페이백을 받고, 원하는 카드로 교체발급을 하면 된다는 꼼수(?)를 알려주기까지 했다.

카드사들에게 카드 모집인의 행태를 알렸지만 돌아오는 답은 “그들은 개인사업자기 때문에 관리할 일도, 방도도 없다”였다.

모집인 채널이 고객 유치에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던 몇 년전, 카드사들이 모집인 이탈을 막기 위해 영업정지 당하지 않도록 급여보전 차원의 생계비를 지급하는 등 대응책 마련에 적극적으로 나섰던 것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물론 생계가 힘들어 저질렀다는 이유로 카드 모집인들의 불법 영업행태가 정당화 되진 않는다. 그러나 수익성 악화를 이유로 한 순간에 업계 성장 공신으로 볼 수 있는 카드 모집인 채널을 팽해 버린 카드사 태도에도 문제는 있다.

그들을 ‘별개’로 취급하며 상생을 노력하지 않고, 일삼는 불법 영업행태에 무관심을 두는 일은 오히려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비대면 채널 활성화로 새롭게 흘러가는 금융시장 환경에 융합되기 위해서라도 업계 성장 공신에 대해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현명한 선택과 소통을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