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보험사들에게 보험계약자 개인정보를 모두 보험개발원에 넘기라고 압박한 것으로 나타나 보험업계가 당혹감에 휩싸였다.

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최근 대형 손보사 사장들을 소집, 독자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계약자 정보 시스템 구축’을 중단하라고 요구했으며, 생명보험 업체들에게는 기존에 구축된 계약자 정보를 보험개발원에 넘길 것을 요구했다.

금감원 고위 관계자는 “손해보험사 사장들을 만나 협회 차원에서 추진 중인 계약자 정보 구축은 보험개발원에 맡기는 게 타당하다는 견해를 전달한 것은 사실”이라며 “생보업계에도 똑같은 의견을 전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개인정보 관리는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며 “유출사고 등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개별 업체나 사적 단체가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것보다 공적기관으로 일원화하는 편이 안전하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금감원의 이 같은 요구에 대해 생보 및 손보업계는 당황감에 휩싸였다. 이미 생보협회는 계약자 정보 시스템을 구축해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손보협회도 4월 중에 고객의 보험 기간과 담보 금액 등 계약정보는 물론 보험금 지급 현황을 손보사들이 열람할 수 있도록 정보공유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양 협회는 이와 관련 “조만간 생・손보협회간 업무협약을 통해 양대 보험상품 고객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도 마련할 계획이었다”며 “소비자들의 보험료 인하 기대감을 충족시키려면 데이터를 정밀하게 구축해 마케팅 비용등 을 줄일 필요가 있다”며 금감원의 요구에 대해 난색을 표했다.

양 협회는 또 “보험계약자 개인정보를 모으고 관리하는데 들어가는 운영비는 협회가 하면 10억원 수준에 불과하지만 이를 보험개발원에서 취급하면 몇배의 비용이 들어간다”며 지적했다.

보험업계 역시 금감원의 ‘개인정보 유출위험’ 논리에 대해 “개별업체나 사적 단체보다 공적기관이 훨신 안전하다는 판단은 ‘관 우위’의 사고방식을 단순 확장한 것일 뿐”이라며 “그렇다면 인터넷 포탈이나 카드사, 백화점 등등에서 관리하는 모든 개인정보도 정부가 일괄 인수받아야 마땅한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이와 관련 보험개발원은 “20년 이상 구축해온 정보시스템 인프라와 운영 노하우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정보집적에 소요되는 비용뿐만 아니라 유지관리비용이 양협회보다 훨씬 적게 소요된다”고 반박했다.

개발원은 또 “보험계약정보는 보험사기 방지라는 공익을 위해 일원화 관리가 필요하므로 포털 등과는 서로 비교 대상이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한편 금감원은 4일부터 오는 14일까지 전격적으로 생보협회와 손보협회 등을 대상으로 보험가입자의 개인정보 관리 실태 점검에 들어갔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