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 시장 위기 신호 다방면서 관측돼 우려
우량채·고등급 위주 포트폴리오 재편 필요

<사진=연합DB>
<사진=연합DB>

[현대경제신문 최윤석 기자] 영국발 국채 위기의 여파로 국내 채권 시장에도 금리 인상에 따른 채권 운용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 28일 영국의 리즈 트러스 영국 총리는 감세안을 철회한다고 밝혔다. 이는 새 영국 정부의 정책이 영국 채권 시장에서의 채권가격 하락을 불러일으켜 영국 연기금이 대량 투자한 LDI(부채연계투자)상품의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시장의 경고 때문이다.

현지시간으로 지난 28일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의 총 650억 파운드(약 100조원), 하루 50억 파운드(약 8조원) 규모의 긴급 장기국채 매입 발표는 연금·기금 운용사들의 국채 매각을 막기 위한 것으로 설명했다.

문제가 된 것은 영국 연기금이 대량 투자한 LDI상품이다. 영국의 연기금 운용사들은 파생상품의 일종인 LDI를 통해 영국 국채에 대해 3~4배 레버리지 투자를 해왔다. 2021년 기준 LDI에 투자된 자산은 총 1조 6,000억 파운드(약 2,50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23일 영국 정부의 감세안 발표가 사실상 영국의 국채 발행 증가로 해석되면서 장기국채 금리가 급등하고 국채 가격이 급락해 일부 운용사에서 마진콜이 발생하자 영국 정부는 황급히 감세안을 철회하고 영란은행이 국채 매입을 선언하게 됐다.

이 같은 영국발 국채 가격 위기의 여파로 금융투자업계에선 국내 채권 시장에 대한 우려를 담은 의견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김명실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채권 시장 패닉에 정부와 한국은행의 대응은 절반 정도의 성공을 했다”며 “지난 9월 28일 한국은행의 3조원, 기재부의 2조원 긴급 국채 조기상환을 발표해 국채 금리에서의 일정부분 성과가 있었지만 회사채 시장에서의 금리 상승은 막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최근 채권 시장에서의 위기 신호가 다방면에서 관측되고 있다”며 “국내에선 강원도 레고랜드 건설 관련 주요 증권사들과 자산운용사들이 투자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미상환 사태가 발생하는 등 10월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투자심리 회복에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 전망했다.

정대호 KB증권 연구원은 “투자 불확실성 시대에 영국 위기와 강달러 현상은 유동성을 확보하라는 시그널”이라고 분석하며 “그 타이밍이 언제인지만 모르지만 현재 시장의 유동성을 공급하여 소진하기보다 그 사이클 진입 시를 위해 남겨 두는 편이 좋은 시기”라고 평가했다.

이어 “스태그플레이션 양상이 깊어질 가능성이 높아 절대적으로 우량채·고등급 위주 포트폴리오 재편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