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부터 올해 7월까지의 사업조정 신청·처리 결과 <자료=신정훈 의원실>
2017년부터 올해 7월까지의 사업조정 신청·처리 결과 <자료=신정훈 의원실>

[현대경제신문 성현 기자] 대기업의 시장 진출로 인한 중소기업의 퇴출과 대량실업 등을 완화하는 사업조정제도가 제 역할을 하고 있지 못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7일 더불어민주당 신정훈 의원(나주·화순)이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7월까지 사업조정 신청건수 186건 중 대형마트, 기업형수퍼마켓(SSM), 기타업종의 조정권고는 10건(5.4%)에 그친 반면 자율조정은 141건(75.8%)에 달한다.

사업조정제도는 대기업의 사업 진출로 중소기업 경영안정에 현저하게 나쁜 영향을 미치거나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등이 대기업의 사업 인수·개시·확장을 연기하거나 품목·수량, 시설 축소를 권고하는 제도다.

자율조정 및 조정권고 등 사업조정 권한이 지자체에 위임돼 있는 대기업 SSM의 경우 이 기간동안 신청된 123건 중 조정권고는 7건(5.7%)에 불과한 반면 자율조정은 88건(71.5%)에 달했다.

구체적으로는 이마트 노브랜드 73건, 이마트 에브리데이 10건으로 이마트 계열이 조정신청의 67.5%를 차지했고 이어 GS더프레시 17건, 롯데슈퍼 12건 순으로 나타났다. 자율조정이 이뤄진 88건 가운데 입점철회는 18건(20.5%)에 그쳤다.

또 같은기간 대형마트에 대해선 7건의 사업조정이 신청됐으며 자율조정이 4건(57.1%), 조정권고는 단 1건(14.3%)에 그쳤다. 이마트 2건, 이마트 트레이더스 1건, 코스트코 2건, 맘마마트, 와마트가 각각 1건이었다.

특히 그간 잘 알려지지 않은 기타업종의 경우 상황이 더욱 심각했다. 총 조정신청 56건 중 자율조정은 무려 49건(87.5%)에 달했으나, 조정권고는 단 2건(3.6%)에 그쳤다.

기업별로는 아성다이소에 대한 조정 신청이 12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CJ올리브네트웍스 11건, 롯데쇼핑 9건 순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해 8월 출범한 자율사업조정협의회의 역할도 미미했다. 중기부는 중소기업 사업조정 시행세칙을 개정하고 자율사업조정협의회 위원을 구성했다.

그러나 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사업조정 신청 건수가 많지 않고 자율조정이 원만히 진행되고 있다는 이유로 단 한 차례도 개최되지 않았다.

신정훈 의원은 “중소기업이 애초에 갈등 상황을 자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면 정부에 조정을 신청했겠는지 근본적인 의문이 든다”며 “사업조정 제도가 대기업 영업 확대를 되레 인정해주는 경로로 활용돼선 안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세한 자본력 앞에 중소기업이 오랜 세월 피땀으로 일궈온 삶의 터전이 허망하게 무너지는 일이 없도록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권고와 역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