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신문 하지현 기자] 국내 5G 가입자가 빠르게 늘며 올해 안으로 가입자 수 2천만 명을 넘어설 전망이다. 5G 시장의 빠른 성장과 달리 상용화 이후 줄곧 지적받아 온 속도 논란은 해소가 요원해 보인다.

‘진짜 5G’ 실현을 위한 이동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의 28GHz 기지국 설치가 미진한 탓으로 소비자들의 가슴앓이만 깊어지고 있다.

28GHz 주파수 할당 당시 정부는 이통3사에 2023년까지 기지국 10만대 설치를 의무화했다. 이에 따라 올해 말까지 통신사들이 구축해야 할 기지국 수만 1만 5천대에 이르나, 통신사별 기지국 구축 실적은 초라하다. 지난 8월 말 기준 SKT는 서울 수도권을 중심으로 85대, KT는 지방 지자체 중심으로 43대, LG유플러스는 단 33대만 설치했다.

5G 통신은 주파수 대역 6GHz 이하의 저속광역망(FR1)과 24GHz 이상 주파수대를 사용하는 초고속 근거리망(FR2)으로 나뉜다. ‘진짜 5G’를 경험하기 위해선 FR2에 해당하는 28GHz 대역 기지국 설치가 필수적이다.

더욱이 28GHz 주파수는 3.5GHz 대비 전파 도달 거리가 짧고 회절성이 약하다 보니 더 많은 기지국이 필요한데, 현재까지 진행 상황을 고려할 때 2023년 전국단위 28GHz 대역 5G 서비스 제공은 쉽지 않아 보인다.

앞서 통신업계에선 세계 첫 5G 상용화란 타이틀 획득을 위해 2019년 12월 무리해서 5G 서비스를 시작했고 줄곧 커버리지 품질 등에 대한 지적을 들어왔다.

소비자들은 국내 5G가 LTE 대비 속도 측면에서 큰 차이가 없음에도 요금은 2배가량 높다며 불만을 쏟아내 왔다. 일부 소비자들은 피해보상 청구소송까지 진행 중이다.

28GHz 대역 5G 서비스 도입은 그동안 쌓인 5G에 대한 소비자 불만을 해소할 절호의 기회가 될 수 있겠으나, 현재로선 통신비 상승에 따라 소비자 부담만 가중시키는 애물단지 서비스 도입이 될 수 있다.

지난 1분기 이통3사 영업이익은 사상최대인 1조원을 넘어섰으나, 상반기 설비투자액은 지난해 7조원에서 5조원 깎인 2조원대에 머물었다.

투자도 줄이면서 지금도 제대로 못하는 진짜 5G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통신사 주장이 이해가지 않는다. 지금이라도 신뢰 회복을 위한 진정성 있는 투자 확대와 기지국 설치 노력이 이어지길 바라본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