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입자 감소·유지 부담 증가 불구, 정부 승인 가능성 낮아

 
 

[현대경제신문 하지현 기자] 세계 각국에서 속속 서비스 종료 소식이 들려오는 3G 관련 국내 통신업계에선 아직까지 사업 종료를 검토 중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23일 업계 따르면 해외 주요 통신사들이 잇달아 3G 서비스 중단 계획을 밝혔다. 

미국 통신사 버라이즌, AT&T, T모바일 등은 2023년 내 3G 서비스를 중단키로 했다. 독일 통신사 도이치텔레콤, 텔레포니카, 보다폰은 2022년, 스페인 텔레포니카는 2025년, 일본 NTT도코모는 2026년까지 3G 사업을 종료할 것으로 알려졌다.  

서비스 이용자 수 감소 및 유지 비용 증가가 사업 종료 배경으로, 향후 이들 통신사에서는 LTE와 5G 네트워크 등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것으로 전해졌다. 

국내 역시 SK텔레콤과 KT가 서비스 중인 3G 서비스의 가입자 수가 꾸준히 줄고 있고 유지 비용 부담은 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 국내 3G 가입자 수는 약 417만 명으로 전체 가입자의 5.8%에 불과하다. 5G 상용화에 따라 3G 가입자는 향후 더욱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가입자 수 감소 불구 서비스 유지 부담은 그대로인 상황이다. 

SKT는 ‘2021년 지속가능성보고서’에서 잠재적 경영 위험 요소로 3G망 유지 비용을 언급했다. 3G망이 점차 노후화되면서 전국적으로 보수 비용이 발생하고 있음에도, 5G와 LTE 대비 더 낮은 요금제를 운영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SKT는 3G 가입자 수요를 고려할 때 향후 10년 이상 3G 망 운용 유지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3G 서비스 유지 부담에도 불구 국내 통신사들의 경우 정부 승인 등을 고려, 아직까지 사업 종료를 검토조차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 통신업계 관계자는 “2G가 종료됐듯 3G도 평생 운영이 힘든 것이 당연하지만 현재 시점의 논의는 이르다”며 “한때 아이디어로 언급된 통신사간 3G 쉐어링 방안도 현재는 논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앞서 정부는 2G 서비스 가입자가 전체 1% 수준으로 내려가자 사업 종료를 승인한 바 있다. 2G와 비교 아직 사업 종료를 검토할 단계가 아니다 보니 중단 자체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설명이다. 

한편 SKT와 KT는 12월 초 이용기한이 만료되는 3G 주파수 재할당을 정부에 신청한 상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G 이용자 감소세 등을 고려해 재할당 기간을 5년으로 설정, 업계에선 3G 서비스 종료 논의가 빨라야 2026년은 지나야 시작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