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대한항공>
<사진=대한항공>

[현대경제신문 하지현 기자] 대한항공은 최근 서울대학교와 함께 공군 항공우주전투발전단 우주처가 발주한 ‘국내 대형 민간항공기 활용 공중 발사 가능성 분석 연구’ 과제 연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대한항공은 이번 공동연구를 토대로 현재 운영 중인 보잉 747-400 기종 항공기를 활용한 공중 발사체 개발을 위해 기술적 수준, 주요 적용기술, 연간 운영비용, 개조 방안 등을 분석한다. .

그동안 국내에서는 한·미 미사일 지침 때문에 공중에서 발사하는 형태의 발사체 개발이 불가능했지만 올해 5월부로 지침이 종료됨에 개발과 운용이 가능하게 됐다.

현재 나로우주센터에서 위성을 발사할 경우 남쪽으로만 가능하지만 공중 발사체를 이용하면 다양한 궤도로 발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약 12km 상공에서 발사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기상과 관계없이 언제든 발사가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별도의 발사장 건설 및 유지를 위한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자체 발사대가 없는 다른 국가에 발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성 발사 수출'까지 가능하다.

이러한 점 때문 이미 해외에서는 민간 항공기를 활용한 공중 발사체를 운용하고 있다. 미국 버진 오빗(Virgin Orbit)사에서 개발한 런처원(LauncherOne)이 올해 1월과 6월 잇따라 보잉 747-400 기종을 이용해 성공적으로 발사된 바 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현재 뉴 스페이스 시대를 맞아 군·관·산업계에서 앞다투어 소형 위성의 군집 운용 활용계획이 발표되고 있지만, 국내에서 다수의 소형 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환경은 아직 미흡하며, 지상발사는 지리적 한계로 다양한 위성의 수요를 만족하는 데 한계가 존재한다."며 "해외 발사체를 이용할 경우에도 계약에서 발사까지 평균 2년 이상이 소요되는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대한항공은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소형 위성 발사 수요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기상과 지리적 요건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공중 발사체 개발이 필수적"이라면서 "대한항공의 오랜 항공기 운영 경험을 비롯해 그동안 축적된 항공기 체계종합, 나로호 총 조립 역량 등 항공우주사업의 전문성을 접목한다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갖춘 공중 발사체 개발이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