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샛별 산업부 기자
주샛별 산업부 기자

[현대경제신문 주샛별 기자] 소위 예쁜 쓰레기라고 불리는 화장품 용기를 환경부가 ‘재활용 어려움’ 표기 대상에서 제외시키자 환경단체들의 강한 반발이 계속되고 있다.

시민단체는 지난달 25일 LG광화문빌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화장품 용기 개선을 촉구했다.

화장품 용기의 90%가 재활용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환경부에서 화장품 용기만 ‘재활용 어려움’ 등급 표시 대상에서 예외적으로 제외하겠단 방침을 발표했기 때문이다. 화장품 수출 등 이미지가 중요한 화장품업계의 상황을 고려했다는 이유에서다. 

지난 2019년 12월 시행된 ‘자원재활용법’은 화장품, 음료수 등 용기를 재활용 난이도에 따라 최우수와 우수, 보통, 어려움 등급으로 나눈다. 하위 등급을 받을 경우 환경 부담금이 최대 30% 까지 부과되나, 화장품업계는 이 법안을 빠져나갔다.

이에 대해 환경단체는 법안이 지난 2018년 처음 개정된 뒤 약 2년이라는 기간이 주어졌음에도 업계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은 없었다고 지적했다.

그도 그럴 만은 하다. 관련법에 대해 화장품업계는 화장품 용기 특성상 친환경 용기 제작까지 많은 비용이 발생하고, 화장품 용기 디자인이 경쟁력에 큰 부분을 차지한다며 지속적으로 환경부에 정책 개선을 요구해왔다. 또한 이 법안이 시행될 경우 화장품 용기 중 90% 이상에 ‘재활용 어려움’이 표시될 것으로 예상돼 매출 타격을 우려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민단체들의 반발이 계속되자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 애경산업 등은 ‘2030 화장품 플라스틱 이니셔티브’ 성명을 발표하며 사태 진정에 나섰다. 다가오는 2030년까지 리필 활성화 등을 통해 재활용 어려움 용기를 100% 없앤다고 선언한 것이다.

하지만 이에 대해 “2030년까지도 약 10년 동안이나 재활용이 되지 않는 화장품 용기를 사용하겠다는 것”이라는 비난이 쏟아졌다.

화장품업계가 우려한 바와 같이 디자인 경쟁력과 매출 타격 등 다양한 시행착오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소비자들의 친환경 수요도 덩달아 급증하고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업계가 이번 친환경 정책을 받아들이고 실천해나간다면 장기적인 관점으로 소비자들의 기대에 부응하게 돼 새로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10년 뒤가 아닌 지금부터 시작해야 선언한 것처럼 2030년에 지속 가능한 순환경제 실천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