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펀드·내부통제 문제 주요 쟁점

 
 

[현대경제신문 김성민 기자] 윤종원 IBK기업은행장이 취임 후 첫 국정감사 시험대에 오른다.

최근 셀프대출, 금품수수 등 논란이 불거진 만큼 허술한 내부통제 체계 문제와 함께 올해 은행권 최대 이슈인 사모펀드가 화두가 될 전망이다.

국회 정무위원회는 7일부터 26일까지 국감을 진행한다. 기업은행과 산업은행 등 국책은행들은 16일 감사를 받는다.

윤 행장을 대상으로는 디스커버리펀드 환매 중단 사태에 대한 질타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기업은행은 지난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디스커버리 핀테크 글로벌 채권 펀드와 디스커버리 부동산 선순위 채권 펀드 각각 3천612억원, 3천180억원어치를 판매한 바 있다.

미국 운용사가 펀드 자금으로 투자한 채권을 회수하지 못하면서 현재 각각 695억원, 219억원어치가 환매 지연됐다. 이에 투자자들은 기업은행이 초고위험상품인 디스커버리펀드를 안전자산이라고 속여 파는 등 판매 자체가 사기였다며 계약 무효를 주장하고 있다. 

윤 행장은 지난 6월 금융사 CEO(최고경영자) 중에서는 처음으로 사모펀드 피해 투자자와 만났지만 입장 차만 확인하며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최근 기업은행 직원의 셀프대출, 금품수수 논란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내부통제 작동 여부에 대한 지적도 나올 것으로 보인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실이 입수한 '2019~2020 기업은행 내부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까지 경북의 한 지점에서 근무한 A지점장은 고객으로부터 금품과 향응을 받아 정직 3개월 처분을 받았다.

앞서 서울의 한 지점에서 근무하는 B차장은 2016년 3월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자신의 가족 명의로 76억원 규모의 대출을 실행해 수십채의 부동산을 사들여 구설에 올랐다. 기업은행은 대출 취급의 적정성에 대해 조사를 벌인 후 여신·수신 업무 취급 절차 미준수 등 업무 처리 소홀 사례로 판단하고, 이해상충 행위 등의 이유로 해당 직원을 면직 처리했다.

특히 윤 행장은 취임 이후 줄곧 바른 경영을 최우선 가치로 꼽아온 만큼 일련의 사건에 따른 책임론도 커지고 있다. 윤 행장은 지난 7월 창립 59주년 기념식서 “윤리헌장을 기본가치로 삼아 청렴도 1등급 은행으로 도약하고 나아가 금융사고·부패 제로(zero)를 실현하자”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