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용 금융부 기자
이승용 금융부 기자

[현대경제신문 이승용 기자]증권사 HTS와 MTS의 접속중단과 지연, 오류, 원하지 않는 매수·매도체결 전산사고는 이제 정기행사로 자리 잡았다.

올해 들어 HTS, MTS 전산장애가 발생한 증권사는 삼성증권, 키움증권, 한국투자증권, SK증권, 유진투자선물 등이다.

문제가 생길때 마다 증권사들은 ‘서버를 복구했다’, ‘서버용량을 확대했다’, ‘일부 투자자한테만 나타난 현상이다’라고 변명하기 바쁘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주요 20개 증권사의 지난해 말 기준 전산운용비는 4천19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 줄었고, 전체 판매비와 관리비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6.04%에서 5.55%로 하락했다.

사고가 빈번한데 증권사들이 전산시스템을 개선하는 데 투자한 비용이 오히려 더 감소했다는 것으로 결국 증권사들은 적극적으로 전산시스템을 개선하지 않았다는 방증이다.

지난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약 5년간 국내 17개 증권사가 피해를 입은 투자자들에게 보상한 전산사고 보상건수는 약 7천건으로 보상액은 100억원에 달했다.

이처럼 전산사고가 잊을만 하면 재발하는 이유는 증권업계에는 전산사고가 발생하면 피해 보상을 해주면 된다는 안일한 인식이 널리 퍼져있고 금융당국의 징계를 받는 경우도 드물기 때문이다.

지난 5년간 많은 전산사고가 있었지만 증권사가 금융당국의 제재를 받은 사례는 2건에 불과하다.

지난 2015년 하나대투(현 하나금융투자)가 전산사고로 과태료 1억원, 지난 2017년에 미래에셋대우가 과태료 5천만원 부과받은 것이 전부다.

전산사고를 막을 의지가 부족한 곳은 비단 증권사만이 아닌 관리감독을 하는 금융당국에게도 있는 것 같다.

금융당국은 전산사고가 발생하면 1차적으로는 해당 증권사가 내부에서 해결하고 보고하라는 입장이며 검사를 실시하려해도 인력이 부족하다는 핑계로 일일이 관리를 할 수 없다고 한다.

컨트롤 타워인 금융당국이 의지부족과 솜방망이 처벌로 나오니 증권사들의 경각심이 사라져 매번 안일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반복되는 전산사고는 결국 증권사에 대한 신뢰가 추락과 국내 주식시장의 자금이탈로 번질 수도 있는데 말이다.

늦었다 생각했을 때가 가장 빠르다는 말처럼 금융당국은 앞으로 증권사 전산사고에 대한 철저한 관리감독에 나서야 한다. 고객들의 인내심이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