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은영 산업부 기자
박은영 산업부 기자

[현대경제신문 박은영 기자]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사업 진행이 지지부진하다.

사업 시작을 알린지 11년이 지났음에도 지역민과의 재산권 분쟁, 지역별 유치경쟁 등 잡음이 줄지 않는 모습이다.

GTX A·B·C 노선 중 가장 빠르게 착공에 돌입한 A노선도 목표한 2023년 개통은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쏠린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GTX C노선 삼성역-양재역 구간 운행과 관련해 은마아파트 주민을 설득하기 위한 공청회를 열었다.

은마아파트 소유주들은 노선 공사 시 지반약화 및 진동이 우려되고 재건축으로 지하 4층까지 땅을 팔 계획이라 아파트 밑으로 터널이 뚫리는 것은 불안하다 주장했다.

국토부는 터널이 지하 암반 60m 아래를 관통, 서울 시내철도와 SRT 지하 터널 현장을 수십 번 답습했고 지상건물의 진동과 피해는 전혀 없었다는 입장을 전했으나 설득은 실패했다.

지난 5월에도 GTX 노선 인근 지역민 반발이 있었다.

A노선 인근 청담동 주민들이 안전과 재산권을 이유로 사업 진행을 반대했다. 이 사안은 시행사 SG레일이 행정심판에서 승소하며 마무리됐으나 다시 한 번 사업의 지연을 야기했다.

당초 2021년 12월 준공을 목표했던 A노선은 사업이 연기돼 2023년 12월로 계획을 수정하며 120억원 가량 사업비가 증가하기도 했다.

이들과 달리 노선 유치를 갈망하는 지자체도 있다. 경기 의왕시와 안양시 등 지역에선 C노선 및 정차역 유치를 위한 연구용역을 발주, 사업 타당성 검토를 요청했고 추가 검토되고 있는 D노선은 경기 하남, 김포 등이 연구용역을 신청했다.

앞으로도 GTX는 각 노선 관통에 수반되는 공정에 따라 환경부와 각 지자체별 협의 절차도 남아있는 상황이다.

또 대부분 구간은 착공 전이고 구간별 공기도 각기 다르기에 추가 지연을 이끄는 지역민과의 갈등, 노선 및 정차역 계획 변경을 요구하는 지자체의 목소리가 유쾌하진 않다.

향후 5년간 수도권 내 대규모 주택이 공급될 점을 감안하면 GTX사업의 빠른 추진은 더 많은 이들에게 필요해 질 것이라 생각한다.

국토부 입장에서도 지역민과 지자체의 목소리를 무시할 수 없겠지만 도심을 관통하는 대규모 철도 사업이기에 토지보상 등 재산권 문제와 노선 및 정차역 예정지 인근 부동산 시장 동향을 보면 여러 의견이 제기되는 것 또한 당연하다.

다만, 사업을 추진하는 입장에서는 진척이 부진했음을 인지하고 필요한 부분은 고려하되 평가나 결정은 냉정하게 내리고 사업에 속도를 붙였으면 하는 바람이다.

A·B·C 노선이 모두 완공되면 수도권 전지역에서 서울 진입 30분, 관통 1시간이 소요된다고 한다.

GTX가 이동시간 단축 면에선 획기적인 교통대책인 만큼 거듭된 부진에 실망하는 사람이 많다는 것을 사업의 주체도 수용자도 상기했으면 한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