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권고 부담& 中 배척 쉽지 않아

 
 

[현대경제신문 김영 기자] 중국 화웨이 장비를 사용 중인 LG유플러스에 대해 미국 정부가 공개적으로 사용 중단을 권고, 그룹 전체에 부담이 커진 상황이나 LG가 즉각적인 장비 교체에 나서진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조치에 따른 실적 부담이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중국과의 관계 또한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다. 

지난 22일(현지시각) 미국 국무부 스트레이어 부차관보는 LG유플러스의 화웨이 장비 사용에 대해 “우리는 이를 심각한 안보 사안으로 여긴다”며 “5G 통신망에서 SK와 KT 등 화웨이 같은 공급업체를 쓰지 않는 곳들이 많다. 우리는 LG유플러스 같은 기업들을 향해 믿을 수 없는 공급업체에서 믿을 수 있는 업체로 옮기라고 촉구한다”고 밝혔다.

중국과 무역 전면전을 진행 중인 미국은 중국 대표 IT 기업인 화웨이에 대해 안보 이슈를 빌미로 지속적인 공세를 펼쳐왔다. 이번 발언 또한 글로벌 반(反) 중국 공조를 강조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업계에선 미국 정부 고위 관계자가 공개적인 자리에서 LG유플러스를 직접 언급하고 나섰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미국 측의 LG유플러스 공개 저격이 LG그룹 전체에 부담이 될 수도 있는 탓이다. 연말 미국 대선을 앞두고 트럼프 행정부의 탈(脫) 화웨이 압박이 그 수위를 더욱 높아갈 것이란 예측까지 나온다.

미국 정부가 자국 업체의 화웨이 장비 공급을 강제적으로 중단할 경우, LG유플러스가 화웨이 장비 수리 지연 등에 따른 직접 타격을 입을 수도 있을 것이란 우려 또한 적지 않다.

다만, LG유플러스가 화웨이 장비에 대한 즉각적인 교체를 단행하지 않을 것이란 게 업계 중론이다. 오히려 LG가 최대한 시간을 가지고 화웨이 이슈 대처에 나설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구축해 놓은 LTE 및 5G 장비 교체에 수조원이 필요한 것은 물론, 우리 정부가 화웨이 장비 사용에 따른 안보 이슈에 대해 아직까지 별다른 문제제기를 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투자업계 중심으로는 이번 논란이 LG유플러스 실적에 미치는 영향 또한 미미할 것이란 전망 또한 나온다.

지난 27일 김홍식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화웨이 이슈가 실적 변수가 되긴 어렵다”며 “미국 측 요구 사항이 점진적 화웨이 장비 사용 배제이지 당장 철수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김 연구원은 이어 “LG유플러스가 2021년부터 점진적으로 화웨이 장비 구입 중단 및 타 업체로의 장비 전환, 장비 상호 연동 조치를 취할 수 있는데다가 그렇게 한다면 모든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고도 덧붙였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미국 정부의 LG 직접 언급이 부담이 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와 전자 등 중국시장 비중이 상당한 계열사들을 고려할 때 화웨이 배척에 따른 중국 시장 상실 타격이 LG로서는 더 클 수 있다”며 “연말 미국 대선까지 상황을 지켜보는 선택을 할 가능성이 현재로선 가장 높아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