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 규모가 관건…채안펀드는 단기적 효과 기대

올 초부터 지난 20일까지 코스피지수는 28.7% 코스닥지수는 30.2% 하락했다.<사진=연합>
올 초부터 지난 20일까지 코스피지수는 28.7% 코스닥지수는 30.2% 하락했다.<사진=연합>

[현대경제신문 이승용 기자] 정부가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주가 폭락에 대응하기 위해 증권시장안정펀드를 조성키로 해 주가 방어에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 주목된다.

관건은 결국 자금 조성 규모다.

증권시장안정펀드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채권시장안정펀드는 단기적으로 투자심리 회복에 효과가 낼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올해 들어 20일까지 28.7% 내렸고 코스닥지수는 30.2% 하락했다.

그나마 지난 20일 한미 통화 스와프 체결 소식에 코스피와 코스닥지수가 각각 7.44%, 9.20% 오른 덕분이다.

올해 연저점을 기록한 19일 기준으로 하면 코스피는 올해 들어 33.7% 내렸고 코스닥지수는 36.1% 하락했다.

코로나19 사태가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단계에 접어들며 국내외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에 대한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증시 부양을 위해 증권시장안정펀드 카드를 꺼냈다.

금융위원회가 지난 16일 단행한 공매도 6개월 금지 조치가 시장 안정에 좀 더 방점을 두고 있다면 증권시장안정펀드는 주가 부양 효과도 노리고 있다.

금융회사들이 조성하는 증권시장안정펀드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친 2008년에도 꺼내지 않은 카드다. 당시에는 민간 금융회사들이 아니라 증권 유관기관들이 5천억원 규모로 비슷한 성격의 자금을 조성한 바 있다.

그러나 이번에는 금융권이 공동 출자 하는 형태로 펀드가 조성된다.

정부가 지난 1990년 주가 부양을 위해 4조원 규모로 조성한 '증시안정기금'과 비슷한 구조다. 당시 증권사와 은행, 보험사, 상장사들이 기금 조성에 참여해 주가를 사들였다.

그해 코스피(종합주가지수)는 연중 최고치를 보인 1월 4일 928.82에서 9월 17일 566.27로 39.9% 하락했다. 그 이후 연말에는 696.11로 22.9% 상승했다. 일부 효과는 있었지만, 지수 원상회복에는 역부족이었다는 평가가 적지 않다.

금융위가 이번에 내놓을 증권시장안정펀드 효과는 결국 그 규모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최대 10조원 정도의 펀드 조성이 예상되지만 금융회사들이 참여했다가 막대한 투자손실이 발생할 경우 주주와 고객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주저하는 분위기가 있는 만큼 그 규모가 줄어들 가능성도 있다.

국내 증시 시가총액이 1천조원 수준으로 커지고 이 중 코로나19 폭락장에서 지수 하락을 주도한 외국인 자금이 400조원 정도인 것을 고려하면 10조원 규모도 그리 넉넉한 것은 아니다.

최근 수일간 외국인의 하루 순매도 규모가 1조원일 정도인 만큼 증시 변동성이 확대될 경우 자금이 조기 소진될 수 있다.

채권시장안정펀드는 증권시장안정펀드에 비해 그 효과에 대한 기대가 크다.

이미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10조원 규모로 조성된 적이 있어 관련 시스템이 갖춰져 있는 만큼 조만간 가동될 것으로 예상되고 그 규모도 10조원 이상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지난 20일 시장 은행장들과 만나 펀드가 적시에 집행될 수 있도록 기존 약정대로 은행권이 중심이 돼 10조원 규모 펀드를 조성하고 향후 필요한 경우 증액하기로 결정했다.

윤원태 SK증권 연구원은 "기재부와 금융당국은 전례 없이 빠른 대응안을 내놨는데 17일 처음 채안펀드를 시행한다고 부총리가 언급한 이후 19일 다시 재확인했다"며 "채안펀드가 빠르게 시행된다면 채권시장은 신용부도 위험으로부터 한숨 돌릴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광열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채안펀드가 기업들의 단기 유동성 부족 우려를 낮출 수 있다는 점에서 크레딧 시장에 단기적으로 긍정적일 것이다"며 "다만 매입 대상이 우량 기업에만 한정될 경우 유동성 상황이 안 좋은 비우량 기업의 부도 확대는 불가피할 것이다"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