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체적 혁신으로 구체적 결실 도출…민·관 협업 중요”

15일 서울 서초구 방배동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사옥에서 열린 '2020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이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활성화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한국제약바이오협회>
15일 서울 서초구 방배동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사옥에서 열린 '2020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이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활성화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한국제약바이오협회>

[현대경제신문 이금영 기자] 원희목 제약바이오협회장이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오픈 이노베이션의 성과를 도출하겠다”고 밝혔다.

원희목 회장은 15일 오전 서울 서초구 방배동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협회는 오픈 이노베이션의 판을 깔고 회원사들이 주체가 돼 뛸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하겠다”며 이같이 발표했다.

오픈 이노베이션은 기업의 혁신을 위해 필요한 기술과 아이디어 개발에 외부 자원을 활용하는 것이다.

이날 원 회장은 “글로벌 오픈 이노베이션 시장에 공격적으로 뛰어들어야 한다”며 “우리나라도 민·관 협업을 통해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생태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올해 예상되는 글로벌 환경 변화에 대해서는 자국 제약바이오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려는 세계 각국의 비관세장벽이 더 높아질 것이라며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도 방향과 속도 측면에서 글로벌 빅 파마와 격차를 줄이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기에 “정부가 지난해 발표한 국민건강보험 5개년 계획에 반영된 약품비 절감 대책에 따른 파장은 산업계가 올해 직면할 큰 도전 중 하나가 될 것”이라며 “제네릭 의약품, 만성질환 의약품 등에 대한 강도 높은 가격통제방안이 예고된 상황으로 유통시장 투명화를 위한 정부의 불공정거래행위 조사, 처벌 활동·관리, 감독 기능 강화도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또 “의약품 안전성·유효성에 대한 국민·사회적 기대와 국제의약품규제조화위원회(International Council for Harmonization of Technical Requirements for Pharmaceuticals for Human Use·ICH) 가이드라인 등 국제 수준에 조화를 이뤄야 한다”며 “이를 위해 제네릭 의약품의 생동 기준 강화와 품질관리 수준 향상, 가격 차등화 정책 등이 추진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원 회장은 글로벌 오픈 이노베이션 실천 방안으로 글로벌 진출 거점 확보 등 8가지를 제시했다.

제약바이오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선도, 의약품 품질 제고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 AI 신약개발지원센터 가동 본격화, 바이오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기관 설립 지원, 윤리경영 산업문화로 정착, 산·학·관 함께 하는 채용박람회 개최, 협회 조직과 회무 개방·혁신이 그 내용이다.

우선 산업계는 올해 30개 이상의 국내 제약기업을 중심으로 글로벌 혁신 생태계에 직접 뛰어들고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해 혁신 신약 개발에 도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미국 케임브리지 혁신센터(Cambridge Innovation Center·CIC)에 유한양행·GC녹십자, 보스턴 지역 전체적으로는 LG화학과 삼양바이오팜 등이 진출해 있다. 또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밀너 컨소시엄에도 가입해 혁신 신약 공동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할 예정이다.

제약바이오산업 혁신 생태계 코어 구축을 위한 오픈 이노베이션 클럽(Open Innovation Club·KPBMA OIC)도 신설하고 지난해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설립한 인공지능 신약개발지원센터의 가동도 본격화한다.

또 산업 육성에 필요한 바이오 전문인력 부족 현상을 타개하기 위해 전문인력 양성 교육기관 설립에 범정부 차원의 프로젝트 추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산업계는 이러한 교육기관 설립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아시아 바이오 전문인력 양성 허브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계속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여기에 중견·중소 제약바이오사도 R&D를 기본으로 하는 강소기업으로 성장하도록 도울 계획이다.

지난해 53개 기업이 도입한 부패방지경영시스템(ISO 37001)도 올해 70개사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해부터 도입을 추진하는 17개사에 대한 교육 컨설팅비를 지원하고 기존에 인증을 완료한 기업의 사후심사·갱신심사 현황도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또 원 회장은 “현재 연간 2조7천억원의 민·관 총 R&D 투자자금 중 정부 투자 비중은 9.1% 수준으로 정부는 신약개발을 위한 R&D 지원금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며 “산업계도 민·관 협업의 한 축이자 오픈 이노베이션의 추진 주체로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