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 판매 참여한 국내 증권사·자산운용사까지 합치면 92억

<사진=연합>
<사진=연합>

[현대경제 신문 이승용 기자]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으로 인해 국내 투자자들이 원금손실로 울고 있는 사이 해당 상품의 판매를 제안한 해외 금융사는 거래수수료로 77억원을 챙긴 것으로 나타났다. 

파생결합상품 제조·판매에 참여한 국내 증권사, 자산운용사가 받은 수수료까지 합치면 92억원에 달한다.

21일 제윤경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우리은행이 판매한 독일국채금리 연계 DLF에 대해 소시에테제네랄은 22억8천600만원(수수료율 3.83%), JP모건 17억499만원(수수료율 3.02%)을 수수료를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하나은행이 판매한 영국·미국 이자율스와프(CMS) 연계 DLF 수수료는 소시에테제네랄 36억8200만원(수수료율 2.36%)였다.

국내 증권사 중에서는 DLF를 발행한 IBK투자증권이 2억8천300만원, NH투자증권 3억5천400만원, 하나금융투자가 3억3천500만원의 수수료를 챙겼다. DLS를 펀드로 만들어 은행에 판매한 10개의 자산운용사도 5억5천121만원의 수수료 수익을 챙긴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증권사는 DLF 발행에 따른 손실에 대비해 외국계 IB와 헤지(위험 회피) 계약을 체결하면서 이번 사태가 발생했다. 외국계 IB는 DLF 상품을 설계하고 증권사의 손실 위험을 떠안는 대가로 2~3%대의 수수료를 받았다.

제윤경 의원은 “외국계 IB도 해외 선물시장에서 상품에 대한 헤지거래를 한 상태여서 사실상 상품 설계와 판매에 관여한 모든 금융사는 리스크를 헤지해 금리 상승, 하락에 무관하게 수수료 수익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이다”며 “개인에게 팔리는 원금손실상품에 대해 설계부터 판매 과정까지 근본적인 제도개선책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금감원 통계에 따르면 주요 해외금리 연계 DLF 상품은 지난 8월 7월 기준 투자자 3천243명(법인 222개 포함)에게 7천950억원이 팔렸다. 만기가 도래했거나 중간에 계약을 헤지한 경우를 제외하고 남아 있는 돈은 지난달 25일 기준 6천723억원이다. 이 가운데 5천784억원이 손실 구간에 들어서 예상 손실액은 3천513억원(손실률 52.3%)이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