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차원의 대대적 인프라 구축 시동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전략에 대한 관계부처 합동 브리핑을 하고 있다.<사진=연합>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전략에 대한 관계부처 합동 브리핑을 하고 있다.<사진=연합>

[현대경제신문 이태헌 기자] 정부가 친환경 자동차 시장 선점을 위한 대대적 인프라 구축에 나서기로 한 가운데, 수소·전기충전소 건립 방식이 충전소 자체에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온사이트가 아닌 중앙에서 파이프라인을 통해 에너지를 조달하는 오프사이트가 될 예정이다.

지난 15일 정부는 '미래차 산업 신속전환을 위한 3대 전략'을 발표, 자율자동차·친환경차의 빠른 보급 및 도로교통망 인프라 구축과 소재부품의 국산화를 통한 시장점유율 확대를 제시했다.

2030년까지 미래차의 국내 신차 판매비중을 33%(19년 2.6%)까지 늘리고, 세계시장 점유율 10%을 달성한다는 목표로 신속한 생태계 전환을 위해 민간투자에 60조원을 지원키로 했다.

이를 위해 2024년까지 제도와 인프라를 세계 최초로 완비하고 2025년까지 전기충전소 1만5천개, 2030년 수소 충전소 660개, 2040년 수소충전소 1200개의 설립을 목표로 잡았다. 2030년 주요도시 20분 이내, 고속도로는 75km이내에 수소·전기충전소가 있도록 할 계획이다.

특히 정부는 구축비용 절감을 위해 CNG·LPG 충전소, 주유소 중 수소충전설비 설치가능 입지 100여개소를 융복합 충전소로 전환키로 결정, 1곳당 지원금 7억5천만원을 지급할 예정이다. 

단기적으론 일반 차량용 190기, 버스전용 60기 등 총 250기가 이용 가능한 충전소를 고속도로와 지역·권역별 서울·대전·울산·창원·광주에 우선적으로 설립할 계획이다.

수소·전기충전소는 오프사이트 방식으로 설치된다. 오프사이트 방식은 파이프라인을 통해 중앙에서 직접 조달받는 방식과 압축기·튜브트레일러를 통해 공급되는 방식이다. 현재 대부분의 수소·전기 충전소는 압축기·튜브트레일러 공급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향후 사업을 전개하며 파이프라인 공급 방식으로 통일할 계획이다.

한편, 문 대통령은 지난 15일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열린 '미래차산업 국가 비전 선포식'에서 "대한민국은 이미 세계 최고의 수소·전기차 기술력을 입증, 올해 수소차 판매 세계 1위를 달성했다"며 "드디어 추격자가 아니라 기술 선도국이 될 수 있는 기회를 맞았다. 우리는 이 기회를 살려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