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대책 이행 권고에도 3건의 화재발생

민관합동조사위에서 ESS 화재원인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민관합동조사위에서 ESS 화재원인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현대경제신문 이태헌 기자] 최근 원인이 확실히 규명되지 않은 ESS(에너지저장시스템) 관련 화재가 급증, ESS 안전성에 대한 시장 우려가 확대되고 있다.

11일 업계 따르면 지난 9월 29일 경북 군위 태양광 발전소에서 발생한 ESS 화재 관련, 그 원인을 두고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ESS는 차세대 전력망의 핵심으로서 원하는 시간대에 전력을 생산하기 쉽지 않은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를 미리 저장했다가 필요한 시간대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  전기의 불규칙한 수요와 공급을 조정해 에너지낭비를 줄이고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돕는 설비다.

2016년 이전까지 100여개 사업장에 설치된 ESS는 신재생에너지·친환경에너지·탈원전 등 정부의 차세대 전략망 사업이 본격화되며 빠르게 확산, 2017년 300여곳, 2018년 900여곳, 2019년 9월까지 1215곳의 사업장에 설치됐다.

ESS 설치가 늘어남과 동시에 관련 화재 사고 소식도 증가했는데, 2017년 8월 2일 전북 고창 풍력발전소 ESS 화재를 시작으로 9월 군위 태양광 발전소 화재까지 3년간 총 26건의 ESS 관련 화재가 발생했다.

ESS 화재 사고가 증가하자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 위원회’를 결성, 6월 조사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당시 산업부 대처에 문제가 있었다고 보고 있다. 일단 산업부에서는 배터리 시스템 결함, 전기적 충격요인에 대한 보호체계 미흡, 운용환경관리 미흡 및 설치 부주의, ESS 통합관리체계 부재 등 네 가지를 화재 주요 요인으로 추정할 뿐 명확한 사고 원인을 밝히지 못했다. 

또 ESS사업장에 대해 안전조치 관련 공문을 송달하며, 전기적 이상 보호장치 설치, 비상정지장치 설치 및 관리자경보시스템 구축, 온도·습도·먼지 등 운영환경의 관리조치, 배터리 과충전 방지 이행 등을 명령이 아닌 권고만 했다.

6월 이후 ESS 관련 화재가 3건 더 발생, 정부의 안일한 대처가 사태를 더 악화시켰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와 관련 김삼화 바른미래당 의원은 “ESS 사업장 중 정부의 안전조치를 이행한 업체는 10월 기준 104개에 그쳤다”고 언급했다.

김정재 자유한국당 의원 역시 “언제 어디서 터질지 모를 ESS 시한폭탄이 되지 않도록 화재원인을 규명하고, 더 이상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 대책을 강구하는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산업부는 “ESS가 여러 장치로 구성된 복합 장치인 만큼, 화재 원인을 하나로 지목하기 힘들다”며 “산업부에서 발표한 안전대책의 이행은 의무가 아닌 권고이기에 업계에 협력을 요청한다”는 입장만 반복하고 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