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현대차그룹은 세계 5위 자동차 생산국가로서의 위상을 자랑하고 있고 품질 또한 남들이 두려워하는 정도가 되었지만 향후가 문제다. 세계 시장은 점차 까다로워지고 있고 치열한 경쟁 체제로 바뀌고 있으며, 국제 규제도 높아지고 있다. 숙제도 한둘이 아니다. 해외 시장은 품질, 가격, 마케팅 전략 등 타 경쟁 기업과 차별화를 이루는 특화 요소를 찾아야 한다. 국내 여건도 큰 숙제이다. 매년 연례행사인 노조 파업은 물론이고 고비용 구조, 저생산성 등 해결하여야 할 과제가 한둘이 아니다. 국내 시장에서 해외 시장으로의 진행방향이 짐작되는 이유다. 최근 현대차 그룹은 그 동안 세계 곳곳에 진출하던 해외 공장 건립을 지양하고 품질제고, 제값 받기 운동 등 내실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치열한 세계 시장에서 살아날 수 있는 방법 중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 현지 공장 건립이다. 경쟁 메이커에 비하여 신차 공급 능력이 떨어지거나 현지화 모델이 부족하고 가격 경쟁력이 약하다면 이미 경쟁 대상이 아닌 것이다. 그래서 현지공장은 가장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항상 걱정하는 환율 문제나 FTA 등 어려운 문제에서 자유스럽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현대차 그룹은 과연 당분간 해외 공장 건립을 중지할 것인가? 그렇지 않다. 아직 세계 곳곳에 구멍이 많기 때문이다. 지역별로 현지화가 안될 경우 경쟁사에 모두 뺏기는 형국이 될 수 있는 만큼 서둘러 우위 요소를 확보하여야 한다. 현재 취약 지구는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다. 아프리카는 아직 시장형성도 없고 경제발전을 못 이루어 아직은 시기상조다. 하지만 동남아시아는 세계 시장에서 가장 성장력이 크고 수준 이상의 경제발전을 이루기 시작했다. 막강한 인구와 영토, 그리고 부존자원에 이르기까지 대단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국가가 동남아시아의 맹주 자리를 놓고 싸우는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이다. 이 밑바탕에는 경제성장이라는 자신감이 바탕을 이루고 있다. 이 두 나라가 가장 많이 예상되는 현대차 그룹의 해외 공장 진출 국가로 꼽을 수 있다.

우선 인도네시아는 2억 3천명이나 되는 풍부한 인구와 부존자원 등 세계적인 규모를 자랑한다. 제작년 연간 신차 판매 90만대 수준이었으나 작년 120만대를 넘었다. 엄청난 증가세이다. 젊은 일하는 인구가 풍부하고 긍정적이며, 아직 물가는 낮고 임금도 매우 저렴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미 수준급으로 올라오고 노조 문화가 꿈틀거리는 중국에 비하여 운신의 폭이 매우 큰 국가이다. 더욱이 곧 인도네시아 해외 국가 최대 투자인 포스코의 강판 등 다양한 제품이 생산될 예정이고 한국타이어도 진출했다는 것도 강점이다.

둘째 베트남은 우리 한반도 2.5배 크기의 기다란 국토를 중심으로 9천만명에 이르는 인구와 부존자원이 풍부한 국가이다. 특히 한국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이고 최고 수준으로 보고 있다. 금호타이어가 진출하고 있고 삼성전자의 스마트폰도 다량 생산되고 있다. 두 나라 모두 차량에 대한 기반이 조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이번 박근혜정부에서 베트남과 인도네시아를 국빈 방문으로 FTA 등 다양한 관계가 기대가 된다. 정부 차원에서 힘을 쏱아주는 만큼 현대차 그룹의 의지에 달려있는 것이다. 공장을 건립한다면 초기에 10~20만대 수준이 될 것이다. 선택을 받기 위해 해당 정부와 토지 임대 등 다양한 혜택이 제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머지않은 1~2년 이내를 예상할 수 있고 이전일 수도 있다. 이미 일부 시장은 일본 차 등이 석권하고 있어 시장 선점이라는 의미에서 서두를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부분을 참조하면 혹시 배트남이 아닐까 상상을 해볼 수도 있다. 필자만의 상상일 수도 있을 것이다. 곧 현실이 되기를 기대한다.


※외부 필진의 글은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