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명갑 산업부 기자
진명갑 산업부 기자

[현대경제신문 진명갑 기자] 모바일 게임을 다운받을 수 있는 구글플레이와 앱스토어는 오픈 마켓이다. 대형 게임사부터 1인 개발자까지 두 마켓을 통해 게임을 유통한다.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국내는 물론 해외 게임들까지 손쉽고 다양하게 접할 수 있어 게임 생태계가 활성화됐다고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게임업계 종사자들은 구글플레이와 앱스토어 때문에 게임 생태계가 파괴됐다고 주장한다. 이유는 ‘마켓 수수료’ 때문이다.

게임사들은 모바일 게임 매출의 30%를 구글과 애플에 마켓 수수료를 지급하고 있다. 퍼블리싱 업체를 통해 게임을 유통하는 중소형 개발사의 경우 매출의 70%를 유통사와 수익을 배분한다. 사실상 개발사들이 손에 쥐는 수익은 많지 않다.

1년 동안 약 2만개 게임이 출시되는 국내 게임시장에서 큰 인기를 얻으며 손익분기점을 넘은 게임들도 모바일 게임의 특성상 수명이 짧아 차기작 개발에 어려움을 겪는다. 결국 다소 낮은 완성도의 차기작은 적자를 볼 수 밖에 없다.

일부 게임 개발사들은 마켓 수수료는 피할 수 없어 퍼블리싱 업체에 지급하는 로열티라도 아끼기 위해 직접 서비스를 하기도 한다.

중소형 게임사들은 게임 개발에 모든 인력이 집중되다 보니 서버운영부터 홍보, 사후관리 등 서비스 분야가 미흡할 수밖에 없다. 결국 잘 만들어진 게임도 큰 빛을 보지는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대형 게임사들도 마찬가지다. 경쟁력을 다지기위해 수백억원의 개발비와 수년간의 시간이 투입하지만 개발부터 서비스까지 직접 진행하는 만큼 손익분기를 넘기 쉽지 않다.

결국 다양한 장르의 게임들이 출시되지 못하고 비교적 과금유도가 쉬운 양산형 MMORPG(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만 시장에 넘쳐나는 이유다.

때문에 게임업계 관계자들은 개발자들에게 더 많은 수익이 돌아가야 다양한 게임들이 출시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 구글, 애플 등 글로벌 IT업체에 ‘디지털세’를 부과키로 결정한 프랑스도 같은 맥락이다.

반면 구글은 우리나라에서만 연간 4조~5조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고 있지만 지난 2017년 구글이 국내에 납부한 세금은 200억원 수준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일부 게임 비판논자들은 맹목적으로 게임업체에 ‘게임세’를 부과해야한다고 주장한다.

마켓 수수료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이상 국내 게임사들은  어려움을 계속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