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신문 오보영 기자]  17일(현지시각) 개회된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틀간 실시되는 이번 FOMC의 결과는 우리나라 시간으로 19일 새벽 3시 벤 버냉키 의장의 미국 경제상황 설명과 함께 발표된다.

이번 FOMC의 가장 큰 관심은 역시 양적완화 축소(QE) 여부와 그 규모다.

각국 정부는 미국이 이번 FOMC에서 QE를 시행할 것으로 기정 사실화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FOMC가 급격한 출구전략은 하지 않더라도 단계적으로 규모를 줄이는 방안을 내놓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단계별 출구전략을 시행하면 월 850억 달러에 달하던 자산매입 규모를 100억 달러에서 150억 달러 가량 줄일 것으로 추산했다.

다만 차기 연준이사회 의장으로 유력시되던 로런스 서머스 전 재무장관이 자진사퇴하면서 100억 달러 미만으로 축소될 것이라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서머스 전 장관은 대표적인 매파로 양적완화 정책의 조기 시행을 줄기차게 주장해 왔다.

이번 발표가 신흥국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도 관심이 쏠린다.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신흥국들은 지난 6월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이 처음으로 출구전략 타임테이블을 제시하자 금융불안에 시달려왔다. 인도의 루피화 가치는 올들어 전년보다 20% 가까이, 말레이시아의 링깃화는 8% 가량 하락하며 지난 3년내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또한 신흥국의 증시시장인 글로벌 이머징 마켓에서는 8월 해외자본이 7억6000만 달러 가량 빠져 나갔다.

신흥국이 금융위기로 경제가 겉돌면 우리 수출이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지난해말 기준으로 대 인도네시아 수출은 139억5500만 달러로 2.5%, 대인도 수출은 119억2200만 달러로 2.2%의 비중을 각각 보이고 있다.

다만 국내 주식시장에 외국인들의 돈이 많이 유입되고 있는 추세로, 신흥국에 비해 안정적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