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설계 솔루션 ‘5G T-EOS’ 자체 개발

SK텔레콤 직원이 14일 명동 한 빌딩 옥상에서 5G 기지국을 점검하고 있다.<사진=SK텔레콤>
SK텔레콤 직원이 14일 명동 한 빌딩 옥상에서 5G 기지국을 점검하고 있다.<사진=SK텔레콤>

[현대경제신문 정유라 기자] SK텔레콤이 내달 1일 5G전파 송출을 앞두고, 서울 중구 명동에 설치된 5G상용망을 14일 공개했다.

이 5G 상용망은 서울, 수도권, 주요 광역시 거점에 구축하고 있는 5G 최초 지역 중 하나다.

SK텔레콤은 작년 초 3.5GHz·28GHz 주파수 대역 특성을 반영한 5G 3D 설계 솔루션 '5G T-EOS(Total Engineering and Optimization System)'를 자체 개발했다.

5G T-EOS는 3D맵을 기반으로 5G상용망 설치 높이, 각도에 따라 어떻게 전파가 고객에게 도달하고, 최적의 품질을 낼 수 있는지 실시간 분석한다. 프로그램상에 기지국 위치를 지정하면, 주변 기지국과 연동해 커버리지 빈틈이 어디 있는지 알려준다.

SK텔레콤이 이날 공개한 5G 기지국은 높이 약 1m, 폭 23cm, 무게 24kg이다. 설치 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지 않는다. LTE기지국은 안테나와 서버를 현장에 각각 설치해 최소 10㎡(약 3평) 면적을 필요로 했다.

크기는 작아졌지만 5G 기지국 내부에 들어간 SK텔레콤 기술은 훨씬 고도화됐다. 최소 8배 많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LTE 기지국당 4개였던 안테나는 5G 기지국에 32개가 들어간다.

SK텔레콤 관계자는 "5G 장비사 입찰 제안서에 최소 크기·무게를 요구 조건으로 담았다"며 "5G는 LTE보다 2~3배 많은 기지국 설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전혀 새로운 형태의 기지국이 필요했다"고 말했다.

5G 기지국에는 전파를 특정 위치로 집중해 효율을 높이는 '빔포밍'과 다수에게 동시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다중 사용자 MIMO(MU-MIMO)', 이동하는 물체를 추적해 전파를 전달하는 '빔트래킹' 기술도 탑재됐다.

SK텔레콤은 건물 내부의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5G 인빌딩 토탈 솔루션'도 공개했다.

5G 인빌딩 토탈 솔루션은 건물 내부 중계 장비의 데이터 트래픽 처리 용량을 LTE 대비 최대 16배까지 늘려준다. 동일한 공간에서 데이터 사용량이 증가해도 안정적인 품질 제공이 가능해진다.

강종렬 SK텔레콤 ICT인프라센터장은 "글로벌 통신사 대비 상용화 과정에서 여러 단계 앞서가고 있다"며 "발 빠른 준비는 최적의 품질로 이어지는 만큼 상용화 전까지 5G 준비에 더욱 속도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