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부진·금리 인상 영향 줄 듯

기업 및 가계에 대한 신용위험지수 그래프. <표=한국은행>
기업 및 가계에 대한 신용위험지수 그래프. <표=한국은행>

[현대경제신문 김영 기자] 3분기 중 기업과 가계의 신용위험이 동반 상승할 것이란 부정적 전망이 제기됐다.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기업의 실적 부진, 금리 인상 및 주택가격 조정 등에 따라 기업과 가계 모두 대출 부담이 크게 상승할 것이란 분석이다.

한국은행은 국내 199개 금융기관 여신 책임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조사)’ 결과를 지난 5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3분기 기업(대기업, 중소기업) 및 가계에 대한 은행들의 신용위험지수는 전분기(27)보다 3포인트 높아진 30으로 조사됐다.  

대기업, 중소기업, 가계 중 가계의 신용위험지수가 2분기(27) 대비 6포인트 상승한 33으로 가장 높았다. 이는 카드대란 직후인 2003년 3분기(44) 이후 가장 높은 수치에도 해당한다.

가계 신용위험 증가 원인으로는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채무상환 부담 증가, 신규 주택 물량 증가에 따른 일부 지역 주택가격 조정 등이 꼽혔다.

기업 역시 대기업 신용위험지수가 7로 조사되며 전분기(3) 보다 두 배 이상 높아졌다. 이에 대해선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그에 따른 수출 둔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전해졌다.

중소기업은 전분기와 동일한 30을 기록했다. 중소기업 신용위험지수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과 관련해선 대기업 협력업체의 실적부진, 지방 부동산 침제에 따른 자산 감소 우려가 원인으로 지목됐다.

신용위험도 상승과 무관하게 가계(가계일반, 가계주택) 및 기업(대기업, 중소기업)에 대한 은행권의 대출태도지수는 6을 기록, 2분기(-1) 대비 크게 완화됐다.

차주별로 살펴보면 가계일반이 -3에서 7로 가계주택대출은 -20에서 -3으로 대출태도지수가 완화됐다.

은행권에서는 신DTI DSR 도입 등에 따른 주택대출에 대한 전반적인 대출 억제 기조가 3분기에도 유지될 것으로 보이나, 지방 일부 은행 중심으로 가계에 대한 대출 문턱이 크게 낮아지며 2분기 보다는 태출태도가 완화 될 것이라 전망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대한 은행권의 대출태도지수 역시 2분기 -3과 7에서 3분기 0과 13으로 상승했다.

이번 조사 관련 한은 관계자는 “신용위험도 증가의 경우 은행 여신 담당자의 주관적 판단에 근거, 실제보다 비판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