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우리銀 외 소극적 대처 일관

2018년 시무식에 참석, 신년사를 하고 있는 김도진 IBK기업은행장. <사진=연합>
2018년 시무식에 참석, 신년사를 하고 있는 김도진 IBK기업은행장. <사진=연합>

[현대경제신문 김영 기자] IBK기업은행이 무기계약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정부의 비정규직 축소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 정책 추진에 따른 조치로 풀이된다. 반면 여타 시중은행들의 경우 지난해 밝힌 비정규직 축소 계획이 별다른 진척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기업은행은 지난 2일 ‘준정규직 처우개선을 위한 노사공동 선언문’을 발표했다. 창구텔러‧사무지원‧전화상담 등 무기계약직 3천300명에 대한 정규직 전환이 핵심이다. 기업은행은 무기계약직의 정규직 편입 관련 새로운 직급을 만들지 않고 별도 선발 절차도 두지 않기로 했다. 또 근속연수를 인정해 주고 향후 무기계약직을 채용하지 않기로 했다.

정부 소유 국책은행으로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국정 최대 과제로 삼고 있는 현 정부의 의지를 반영했다는 게 업계 일반적 분석이다. 무엇보다 이번 조치를 통해 임금과 승진 등에 있어 차별을 받던 무기계약직 직원들의 근무여건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예금보험공사가 최대 주주인 우리은행 역시 지난해 7월 이미 ‘비정규직의 제로화’를 선언하고 관련 작업을 진행 중이다. 시간제계약직 및 사무계약직에 대해 단계적 정규직 전환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반면 지난해 신규 채용 규모를 예년 수준으로 유지 또는 확대했고 비정규직 해소를 검토했었던 여타 시중은행들의 경우 현재까지 비정규직 전환 문제에 있어 별다른 진척을 보이지 않고 있다. 급격한 인건비 상승 등 경영여건의 변화 등을 우려 서둘러 이를 추진하지는 않는 모습이다.

신한은행의 경우 창구직원 대상 RS직군을 새로 만들고 기존 비정규직 직원을 해당 직군으로 편입시켰다가 지난해 10월 국정감사에서 호된 질타를 듣기도 했다. 국회 정무위 소속 심상정 정의당 의원은 신한은행의 직군 신설에 대해 “임금 및 승진 등에 있어 또 다른 차별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NH농협은행은 농협중앙회에만 바라보고 있는 신세다. 지난해 10월 김병원 농협중앙회 회장은 중앙회 산하 금융지주는 물론 경제지주 소속 비정규직 5천여 명에 대해 정규직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으나, 아직까지 별다른 업무 진척은 없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농협금융 관계자는 “중앙회 산하 모든 계열사에 대한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플랜을 모색하다 보니 업무가 늦어지는 측면이 있다”며 “특히 지방농협 소속 비정규직 직원 및 경제지주 산하 비정규직 사원의 정규직화 계획 수립에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지난해 6월 말 기준 비정규직 비율이 업계 최고 수준(6.83%)을 보인 KB국민은행 역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관련 ‘단계적 축소’라는 거시적 구상만 밝힐 뿐 아직까지 이렇다 할 구체적인 계획을 내놓지 않고 있다. 지난해 11월 취임한 허인 국민은행장 역시 비정규직 비율 축소에 대한 언급 없이 대규모 구조조정 미(未)실시 계획만을 밝히고 있다.

KEB하나은행 또한 이와 비슷한 상황으로 ‘단계적 추진’ 만을 강조하고 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