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김병탁 기자
산업부 김병탁 기자

[현대경제신문 김병탁 기자]새해 1일부터 최저임금 7천원대 시대가 도래한다. 주휴수당, 연장근로수당 등 이와 연계된 각종 수당도 덩달아 함께 오른다.

하지만 정부의 바람과 달리 시작부터 자영업자에서부터 대기업에 이르기까지 여기저기서 앓은 소리가 끊이질 않고 있다.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국내 식당가의 변화다. 최저임금 인상에 따라 셀프 방식과 같이 종업원 수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운영 방식을 바꾸고 있다. 이에 맞춰 놀부부대찌개, 롯데리아 등 일부 외식업체가 벌써부터 주요 제품들의 가격을 인상한 상태다.

편의점 업계도 마찬가지다. 내년부터 한 달 인건비로만 300만원에 달하는 야간 운영에 부담을 느끼는 점주들의 수가 늘고 있다. 자연스럽게 ‘야간 운영을 자율에 맡기자’는 점주들의 목소리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는 상황이다.

대형마트도 최저임금 인상에 맞춰 큰 변화를 예고했다. 이마트는 내년부터 폐점시간을 밤 12시에서 11시로 1시간 단축하기로 결정했다. 또 최저임금 인상 여파를 임금삭감 없이 주35시간제를 도입해 근무자들의 노동 강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풀어갔다.

더 심각한 문제는 이 피해가 기존 근로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다. 최근 알바몬에서 발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자영업자의 79.3%가 최저임금 인상 영향으로 내년 아르바이트 채용을 줄일 계획인 것으로 드러났다.

여기에 외식업계와 편의점업계에 불고 있는 무인화 열풍은 근로자들의 설 자리를 더욱 잃게 만든다.

이로 인해 현재 20~30대 젊은 층 사이에서 취업 걱정에 이어 알바자리까지 경쟁해야 한다는 위기감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SNS 등 인터넷커뮤니티에서 최저임금 인상에 대한 기대감과 알바자리 축소 및 해고에 대한 우려가 팽배하게 맞서고 있는 실정이다.

복지정책에는 후퇴란 없다는 말이 있다. 그만큼 복지정책은 신중해야하며 현 실정에 맞는 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말이다. 복지정책 하나로 그 나라의 흥망성쇠가 뒤바뀌는 경우는 어제 오늘 일만이 아니다.

이번 최저임금 인상도 이미 돌이킬 수 없는 강을 건넌 상태다. 시작부터 지금까지 기대와 우려가 끊이질 않았던 이번 정책이 무사히 안착할 수 있을지 좀 더 지켜볼 일이다. 하지만 첫 시작부터 삐꺽대는 수레에 우려를 표하는 건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