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포스코·한화·두산 등 진출 러시

제주도 한경면 두모리 해상에 설치될 해상 풍력발전소 조감도. <사진=한국남동발전>
제주도 한경면 두모리 해상에 설치될 해상 풍력발전소 조감도. <사진=한국남동발전>

[현대경제신문 성현 기자] SK와 한화, 두산, 포스코 등 주요 대기업들이 해상 발전사업에 연이어 뛰어들고 있다. 해상 발전사업은 육상발전에 비해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상대적으로 적고 환경오염 논란에서 비교적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 문재인정부가 신재생에너지 육성 정책을 펼치면서 대기업들이 이 시장에 진출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14일 재계에 따르면 SK건설은 최근 울산 북구 강동 앞바다에 해상풍력발전소를 짓겠다며 산업통상자원부에 허가를 신청했다.

SK건설은 지난 7월 산업통상자원부에 발전사업허가 신청서를 냈지만 이후 사업구역과 사업규모를 일부 조정해 이번에 다시 접수했다.

발전 용량은 3㎿ 발전기 32기(총 96㎿) 규모다. 총 사업비는 약 5천억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SK건설은 2020년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SK그룹의 또다른 계열사인 SK E&S도 포스코에너지와 함께 해상풍력발전소 건설을 추진 중이다.

대상지는 전남 신안군 자은도 앞바다로 두 회사는 2021년까지 서쪽과 북동쪽 바다에 각각 300㎿(메가와트), 96㎿ 규모의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조성키로 하고 최근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사업허가를 받았다.

한국전력의 발전자회사인 한국서부발전도 전남 완도에 해상풍력소 건설을 추진 중이다. 이미 지난달 28일 완도군과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 공동개발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서부발전은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통해 150㎿급의 해상풍력 발전사업을 추진하기로 했으며 이후 추가 입지개발을 통해 완도군 내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점차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정영철 서부발전 사장 직무대행은 “완도 해상풍력 발전사업은 정부의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전환 정책에 초석이 될 것”이라며 “지자체와 공공기관 간 신재생전원 공동개발의 성공사례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원자력발전분야 강자인 두산중공업도 현대중공업의 해상 풍력발전사업을 인수하며 시작했다. 두산중공업은 지난 4월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현대일렉트릭)의 5.5MW급 해상풍력발전 기술을 인수했으며 최근에는 이 기술 파트너사인 미국 AMSC와 기술제휴도 갱신했다.

두산중공업이 인수한 5.5MW급 해상풍력발전기는 국산 제품 중 최대 용량이다. 제주 김녕 실증단지에 설치돼 가동 중이며 약 3년간의 운전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한화와 한국남동발전은 이미 해상 발전소를 건설했거나 가동이 임박한 상황이다. 한국남동발전과 두산중공업이 공동출자한 탐라해상풍력발전은 이번달 안으로 제주도 한경면 두모리 해상에 풍력발전단지를 준공한다.

이곳의 발전 능력은 약 2만4천가구에서 사용 가능한 8만5천㎿h 규모다.

한화는 세계 최대 규모의 수상 태양광발전소를 건설한다.

한화종합화학은 한국농어촌공사가 충남 당진시 석문호에 조성하는 수상 태양광발전소 건설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고 지난 2일 밝혔다.

한화종합화학은 총 100MW의 태양광발전소 중 80MW는 한국중부발전과 함께 직접 건설하며 나머지 20MW는 한국농어촌공사가 자체적으로 건설한다.

전 세계에 가동 중인 수상 태양광발전소 중에서 가장 큰 규모다.

대기업들이 이처럼 해상 발전사업에 경쟁하듯 뛰어드는 것은 육상발전에 비해 환경파괴 우려가 적은 탓이다

업계 관계자는 “해상 발전은 육상발전에 비해 아무래도 환경파괴 우려가 적다”며 “이에 사업지 인근 지역주민이나 환경단체의 반발도 적다”고 말했다.

정부의 친환경 에너지 육성 전략도 호재다.

또다른 업계 관계자는 “새정부는 2030년까지 총 발전량의 20%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겠다는 ‘신재생 3020’ 목표를 갖고 있어 해상 풍력이나 태양광발전사업을 하기에도 좋은 환경”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