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신용자 대출, 높은 부동산 상품 비중으로 불확실성 확대

 
 

[현대경제신문 안소윤 기자] 핀테크(IT+금융) 바람을 타고 금융권에 새롭게 등장한 P2P(Peer to Peer·개인 간 거래)가 가파른 시장 성장세만큼이나 ‘부실률’도 급등하고 있어 투자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26일 한국P2P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 8월말 기준 협회 회원사 54곳의 누적 대출액이 1조3천290억원으로 집계됐다.

상세 내역으로는 신용대출 3천261억원, 부동산 담보 3천7억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4천469억원, 기타 담보대출 2천552억원 등을 기록했다.

대출 상품의 만기는 1개월부터 최장 48개월까지다. 금리는 4%~19%대에 분포했으며 평균 대출금리는 14.80%로 나타났다.

국내 P2P시장은 최근 중금리 투자 수요, 개인신용대출 상품 외 부동산 및 소상공인 전문 등 다양한 상품군 개발 등으로 2016년 6월 이후 올해 상반기까지 월평균 16% 이상의 성장세를 보여 왔다.

올해 7월 누적 대출액 증가율은 지난 5월 29일부터 개인당 투자한도를 크게 낮추는 P2P대출가이드라인이 시행됨에 따라 전월 17.5%에서 4.0%로 급감 했지만, 8월에 다시 ‘8.2부동산대책’으로 인해 부동산대출 상품이 인기를 끌면서 전월 대비 14.1% 증가하는 등 성장 기조를 회복했다.

그러나 2017년 6월 이후 P2P의 평균 연체율과 부실률도 급등하고 있어 투자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연체 또는 부실이 발생한 P2P업체 수는 지난달 기준 15개사로 지난해 11월말 7개사 대비 약 2배 증가했다.

이들 업체의 평균 연체율은 지난해 11월말 0.35%에서 지난달 0.85%로 0.50%포인트 늘어났으며 평균 부실률은 같은 기간 0.22%에서 0.34%로 0.12%포인트 상승했다.

P2P시장의 연체율과 부실율은 제2금융업과 대부업 등에 비교하면 아직 낮은 수준이지만, 타 업권 대비 작은 규모와 시장이 본격적으로 형성된 지 2년 여 밖에 되지 않은 초기단계임에도 불구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현재 연체 또는 부실이 발생한 P2P업체의 경우 상대적으로 전체 누적대출액 중 개인신용 대출상품 취급 비중이 평균 30배 이상 높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규림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원은 “P2P 개인신용대출의 경우 은행권대비 저신용자를 대상으로 대출이 이뤄져 연체 또는 부실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분석했다.

또 최근 8.2부동산대책 등의 영향으로 부동산 시장 전망이 불확실해짐에 따라 부동산투자 상품의 리스크가 더욱 커졌다는 주장도 나온다.

실제 현재 부동산PF 상품의 비중이 50% 이상인 업체의 평균 부실률은 1.69%로 다른 업체 평균 0.46% 보다 3배 이상 높은 상황이다. 최근 P2P협회를 탈퇴한 특정 부동산PF 전문업체의 경우 부실율이 10%를 초과하기도 했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P2P업계의 부동산PF 상품은 복잡한 사업구조, 다수의 이해관계자, 사업주체의 영세성 등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리스크가 높다”며 “부동산PF 대출의 구조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리스크 요인을 꼼꼼하게 확인한 후 투자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